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4분기 및 연간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5.6%, 전년동기 대비는 3.4%가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03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됐으며 1998년 1분기 7.8%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국내 실질GDP는 2.5% 성장하는 그쳐 지난 1998년 6.9% 감소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성장률이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생산과 지출 모두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생산측면에서는 농림어업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생산이 큰 폭의 감소로 전환됐고 지출면에서도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부진이 심화되는 가운데 재화수출도 감소폭이 확대됐다.
제조업은 반도체, 철강, 자동차 등 주요업종의 감산 등으로 전기대비 12% 감소했고 건설업도 토목건설이 증가했지만 건물건설 부진 심화로 전기대비 2.9% 줄었다.
서비스업도 도소매 및 음식 숙박업, 운수창고 및 통신업, 금융보험업 등 영업부진으로 전기대비 1.2% 감소했다.
민간소비도 전기대비 4.8% 감소해 지난 1998년 1분기 14.6% 감소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로도 4.4% 감소해 1998년 4분기(10.8%)이후 10년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를 중심으로 전기대비 16.1% 떨어졌고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의 부진이 심화돼 전기대비 4.0% 감소해 외환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수출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면서 경제성장이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재화수출도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부진으로 전기대비 11.9%급감하면서 지난 1979년 1분기 이후 최대폭으로 줄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