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제도권 금융기관의 자금 회전이 안되면서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이 불법사채로까지 내몰리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부업체에서도 자금 대출이 거절된 서민들이 생활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불법 사채업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경기 상황이 악화되면서 제도권에서 밀려난 고객들이 대부업체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신용정보 CB연구소가 발간한 3분기 ‘NICE Credit Insight’에 따르면 대부업체에 대한 신규대출에 대한 조회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CB연구소 유승연 수석연구원은 “은행업권이나 캐피탈 보험업권은 고소득층에서 조회비율이 높은 반면 저축은행이나 대부업권에서의 조회는 저소득층에서의 조회 비율이 월등히 높다”며 “특히, 대부업권에서의 조회율 수치는 소득 수준 집단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차이는 더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유 수석연구원은 “즉, 점점 더 많은 저소득층이 제도권금융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사금융을 이용하기 위해 문을 두드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대부업권 조회비율은 지난해 12월 2.4%에서 1분기 2.9%, 2분기 3.3%, 3분기 3.1%대로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대부업체의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서민들의 수요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체의 대출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대부소비자금융협회에 따르면 45개 중대형 대부업체의 월간 신규대출은 7월 1886억원에서 8월 1627억원, 9월 1105억원으로 급감했다.
A대부업체 관계자는 “대부업체도 캐피탈사나 저축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해서 서민대출에 나서고 있지만 최근 유동성이 막히면서 대부업체도 신규대출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라며 “제도권에서 밀려난 서민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싶어도 자금조달에 유동성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은 이상 확대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등록대부업체까지 대출을 축소하자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은 불법사채업자를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사금융피해상담센터에서 접수한 상담건수는 8월 253건에서 9월 321건, 10월 384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업계에서는 정부가 여전사의 유동성 지원으로 자금을 풀어주는 한편, 건전한 등록대부업체를 양성해야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했다.
B대부업체 관계자는 “자금회전이 안되면서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정부는 캐피탈 등에 유동성 지원을 해줘 자금을 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불법사채업자가 등록대부업체로 둔갑해 불법을 저지르지 못하도록 등록 규정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