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내 증시에서 대거 ‘팔자’ 매물공세를 펼쳐왔던 외국인들의 매도물량중 상당 부분이 공매도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올들어 장기 하락의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올들어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은 30조원이 넘는 누적 순매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외국인은 33거래일째 연속 순매도를 이어가며, 최장 기간 순매도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이는 대규모 정부 개입이후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하락장이 지속되면서 외국인들의 공매도가 지수의 낙폭을 확대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했다는 비판 여론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감독당국이 공매도를 둘러싼 현장점검을 통해 규정 위반에 대한 조사를 벌이면서 공매도 관련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지 관심은 쏠리고 있다.
그동안은 외국인 공매도 규모가 매도규모에 포함돼 투자정보로 제공돼 왔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증권선물거래소는 지난 6월말부터 투자주체별이 아닌 종목별 공매도 규모에 대해 공표해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외국인들이 전체 공매도 금액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올들어 지속적으로 쏟아냈던 매도물량의 30% 가량이 공매도였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상반기 LG전자,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정보기술(IT)주들에 대한 주가 하락도 외국인 공매도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하반기 들면서 포스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신한지주, 국민은행, 대우조선해양, STX조선 등 중공업·금융·조선주 등에도 이같은 외국인 공매도가 집중되면서 이들 대형종목들의 주가를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대형주들의 변동성 확대에 따라 코스피지수도 1500선이 무너지는 등 시장전반의 투자심리를 보다 약화시키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금감원은 증권사 및 증권예탁원 등에 대한 공매도 관련 현장검사를 벌이고 45개 증권사에 대한 점검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이 공매도 관련 규정 위반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불공정거래 가능성에 대한 제도적인 보완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는 사실상 순수한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지 않고, 선진국에 비해서는 공매도 규제가 높은 편이라는 평가다. 미국 등 선진시장에서는 사실상 주식을 빌리지 않아도 공매도를 할 수 있지만 국내 시장에서는 공매도를 위해서는 해당 종목을 미리 빌려야만 가능하다.
그러나 장기간 하락장이 지속되면서 이같은 문제점이 부각되자 대차거래가 많은 종목일수록 공매도 가능성이 커진다며 대차거래의 90% 가량을 외국인이 차지하는 등 편중현상을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공매도 투자가 하락폭을 키웠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공매도 이후 투자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되사는 숏커버링도 기대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보다 큰 문제로 지적된다.
미래에셋증권 이진우 연구원은 “외국인의 공매도는 증시 반등때에는 리스크가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장기투자 자금보다는 단기성 투기 수요가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전했다.
대신증권 성진경 투자전략팀장도 “신흥시장에서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이 본격화되고 있고, 달러 강세 요인도 외국인들의 매도 요인을 부추기는 것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 둔화와 더불어 외국인들의 매도, 그리고 공매도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