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부위원장은 대내외 경제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유가가 100달러 정도 오르더라도 하반기에는 90달러 정도로 가지 않겠나 했는데 지금으로서는 그 이상으로도 갈 것 같다”며 “더불어 내수침체도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경제여건이 좋지만은 않다”고 평가했다.
그는 은행이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리스크로 ‘유동성’을 꼽았다. 그는 “은행의 유동성이 풍부하면 경기가 내려가는 국면에서 경기 급락을 막아줄 수 있다”며 “하지만 본격적으로 경기가 하락할 때는 늘어난 유동성이 경기를 끌어내리는 양면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은행의 유동성이 늘어난 측면이 있는데 경제의 역동성을 살릴 수 있는 창업이나 기술 지원 등의 대출을 지원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는 대해서는 대출을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분야에 대한 대출을 늘리는 대신 나머지 분야에 대해서는 대출을 자제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리스크 관리 범위도 확장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 부위원장은 “최근 키코(KIKO)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은행은 은행 자체 시스템만이 아니라 고객들의 위험도 관리하는 총체적인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리스크 관리가 은행 내부에서만 이뤄질 것이 아니라 은행 이용자의 위험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영역이 확대돼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신 BIS협약(바젤II), 자통법 등의 새로운 제도 도입을 맞는 은행권의 준비 상황, 고충과 관련한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김광수닫기

그는 "은행권에서는 바젤II에 의해 은행을 운영하면 리스크 한도를 조절하고 위험관리에 기반한 가격을 책정해야 하는데 은행간 과당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어려운 얘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고 전했다.
관리자 기자 sh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