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자문위원회는 5일 최종공청회를 개최, 생보사를 ‘주식회사’로, 과거 생보사들의 계약자 배당은 ‘적정’한 것으로 결론지으며, 그동안 정해온 입장을 재삼 강조했다.
또한 상장자문위원회는 공정성 문제를 의식한 듯 틸링하스트사의 회신을 발표하며, 상장자문위원회의 분석방법이 적합했다는 점을 강조하는가 하면 지난 1년간 행보에 대해 여론수렴과정을 거치는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쳤다는 입장을 재삼 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들은 상장자문위원회의 최종입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제개혁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이와 관련해 8일 오전 금감원에서 이번 상장자문위원회의 최종결론을 반박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한편 재경부 장관, 금감위원장, 노무현 대통령에게까지 면담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별도의 상장안을 마련해 발표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경제개혁연대 최한수 팀장은 “상장자문위원회의 공정성부터 그 결론까지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특히 대통령 임기안에 보험사 위주의 상장안을 마련하려는 시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한편 이러한 반응에 대해 보험업계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미 기본안 마련때부터 결사반대만을 주장해온 시민단체들이 갑자기 입장을 선회하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의 강력한 생보사 상장의지와 그 경제적 효과를 막기에는 시민단체들의 주장에 힘이 실리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 상장 준비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한 생명보험업계 관계자는 “최종 승인이 남았지만 상장안의 기본골격이 정해진데다 그 골격을 무너뜨릴 명분도 없는 상황”이라며 “상장안 마련은 무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