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러한 기조는 매년 국정감사 시즌마다 반복되고 있어 서민금융기관 영업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저축은행업계는 국회의원들이 폭로성 발언을 하기 전에 서민금융 활성화라는 대의를 한번 더 되새겨야 한다고 아쉬움을 표현했다.
또한 업계 내부에서 자정활동과 투명성 제고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좀더 애정어린 시선으로 저축은행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 국감폭풍 지난해 보다 클듯
지난 23일 개최된 예금보험공사의 국정감사로 인해 저축은행 영업에 한동안 먹구름이 예상된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계는 예보의 저축은행 계정부실의 주범으로 지목돼 한동안 부실금융기관이라는 오명을 뒤짚어 써야만 했다.
그러나 올해 국정감사에 비하면 지난해는 양호한 셈이다. 지난 23일 예금보험공사의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김정부 의원은 “예보가 제출한 저축은행의 리스크 분석 결과 부도가 확실시되는 회사는 8곳에 이르며, 부도확률이 50%가 넘는 곳은 32개에 달한다”고 주장해 저축은행업계의 이미지는 물론 고객들의 불안감을 자극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 5월말 현재 업계 하위 5%에 속하는 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이 32.4%에 달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에 저축은행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아무리 국정감사라고는 하지만 그로인해 야기될 파장이 서민금융에 치명적이라는 지적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108개 저축은행 중 40군데가 부도확률이 높다고 밝히는 것은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고객들의 불안감을 가중시켜 대규모 인출사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비판하며 “지난 IMF 이후 대규모 퇴출사태때에도 이러한 불안감으로 인해 우량저축은행이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 금융전문가는 “막연한 불안감으로 예금을 인출할 경우 중도해지로 금리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며 “거래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을 살펴보고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이제는 탈 저축은행으로 승부
이번 국정감사처럼 저축은행업계는 부실이 발생할때마다 업계전체가 그 후폭풍에 시달려야만 했다. 108개 저축은행의 자산규모나 영업형태가 천차만별임에도 불구하고 개별사로 인식되기 보다는 저축은행이라는 하나의 잣대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량저축은행들은 이같은 일반화에서 벗어나고자 최근 건전성 강화 및 고객신뢰도 제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한 타 저축은행과의 차별점을 부각해 고객들에게 ‘저축은행중 하나’가 아닌 저축은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하나의 금융기관’으로 인식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건전성도 현행 감독기준인 BIS 자기자본비율 5%를 휠씬 상회하는 은행권 수준인 8%대 유지를 위해 대손충당금 적립, 부실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