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정보통신부는 지난해 6월부터 산·학·연·관 등과 공동작업을 통해 수립한 인터넷주소자원 기본계획(안)을 최종 확정하고 이를 인터넷 주소자원 기본정책으로 발표했다. 따라서 u-코리아 실현으로 정보통신 일등국가 달성을 위해 주소자원 차원에서 뒷받침할 수 있는 주소자원의 개발·이용촉진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이 마련된 셈이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인터넷주소자원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고 kr 도메인의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 3단계 도메인 체계와 별개로 2단계 도메인 체계를 2008년까지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kr 도메인 활성화를 위해 등록관리수수료도 단계적으로 인하한다.
2010년 All-IPv6(인터넷프로토콜버전6)로의 전환 지원을 위해 2008년까지 총 1228만개의 IPv4 주소를 확보해 보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약 897만개의 IPv6 주소를 선도적으로 보급해 8대 신규서비스 활성화를 지원함과 동시에 세계 10대 IP주소 보유국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BcN(광대역통신망)상에서 인터넷 서비스와 통신서비스의 융합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식별자로 홈페이지, 전자메일 등 인터넷 서비스와 다양한 전화 서비스를 연계하는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중심의 글로벌 ENUM (차세대인터넷통합번호) 서비스를 2007년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환경에서의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넷 접속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현 모바일주소(WINC) 서비스를 모바일 전자정부와 연계하는 등의 지속적인 서비스 확대 및 다각화 사업은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한다.
또 지난 2003년 1·25인터넷침해사고와 같은 인터넷 위협에 대응키 위해 내년까지 국가 DNS(도메인네임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국내·외 DNS의 이상 징후와 장애를 파악하고 수집된 정보를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와 공유해 인터넷 침해에 대한 신속한 대책도 마련한다.
이와 함께 피싱, 파밍 등의 신종 인터넷 위협에 대응키 위해 국제 기술 공조를 통해 DNS 보안 신기술을 개발, 적용해 도메인 관련정보를 암호화하고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보안 강화책을 2008년까지 단계별로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정통부는 이를 위해 우선 올해 115억원을 집행하고 오는 2006년부터 148억원, 2007년에는 150억원, 2008년에는 151억원을 투입, 총 564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