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보험은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운용수익률이 높으면 보험금이 많아지지만, 수익률이 낮으면 원금손실을 볼 수도 있다. 단 사망보험금 최저 보증으로 일정액의 보험금은 받을 수 있다.
변액보험은 크게 채권형과 혼합형으로 구분되는데 계약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자산 운용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보험사마다 연간 4∼12회의 펀드변경을 수수료 없이 허용하고 있다. 초기에는 안정성을 중시한 채권형이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주식시장의 활황세로 인해 혼합형으로 펀드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변액보험의 종류는 종신보험과 기능이 합쳐진 ‘변액종신보험’, 노후를 대비한 ‘변액연금보험’,CI보험과 결합한 ‘변액CI보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자유로운 입출금 기능을 가진 유니버셜보험의 기능을 포함한 ‘변액유니버셜보험’이 생명보험사의 주력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보험 가입할 때 유의할 점은 평균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장기 보험상품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최근의 주식활황세를 틈타 단기적인 투자 수익을 얻는다는 목적보다는 보험본래의 기능에 투자수익은 덤이라는 인식을 해야한다. 또한 보험사의 안정적인 자산운용능력이나 재무적인 건전성을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각 회사의 펀드 운용실적은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www.klia.or.kr)에 공시된다.
〈보험팀〉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