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變化=危機」의식…경영합리화 모색
赤字요인 해소, 중∙장기 戰略 세울때
다른 업태의 금융업이 그런 것처럼 損害保險産業도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지금까지의 양적 팽창과는 다른 질적, 구조적 변화를 맞고 있다.
개방, 자유화, 국제화로 요약되는 일련의 금융환경 변화가 국내損保업계의 변화를 강요하고있을 뿐 아니라 그동안 量的 성장에만 치우쳐 누적돼온 제반문제점들이 損保社 경영에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損保업계가 맞고 있는, 또는 맞아야 할 중대한 변화는 `자율경쟁`, `투자여건변화`, `시장구조변화`, `소비자의식변화` 등 몇 가지 이슈로 초점이 모아진다.
우선 지난 80년대 말부터 일기 시작한 개방 및 자율화추세는 90년대 들어 최근까지 급격한 속도로 전 금융부문에 파급효과를 초래하고 있고, 이는 損保업계에도 본격적인 `경쟁의 시대`를 몰고 올 전망이다.
외국 損保社의 국내시장 참여확대는 물론, 재보험거래자유화, 보험요율의 단계적 자유화 등 근본적인` 자율경쟁체제`로의 이행이 가시화될 것이고, 미시적으로는 협정요율, 상품규제, 모집조직 규제 등 각종 경직적인 행정지도가 완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쟁체제로의 이행은 투자여건의 변화와 맞물려 損保업계에 적지 않은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자본시장개방, 금리 자유화 등으로 인해 투자환경은 지금보다 더욱 어려워질 것이고, 지금까지 영업적자를 메워주던 투자수익 또한 악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80년대 주식시장 호황에 힘입어 쉽게 장사했던 損保社들로서는 자산운용기법상의 취약점과 투자위험에 대한 느슨한 인식을 개선하지 않는 한 적지 않은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콘슈머리즘(Consumerism)이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의식구조도 크게 변화, 고객들은 보험상품의 내용, 가격, 서비스에 대해 더욱 까다로와질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 환경변화는 損保社들이 `적자생존`의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며, 損保社의 경영에도 근본적인 혁신을 강요한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의 시발점에서 최근 損保업계가 처해있는 현실은 비관적인 측면이 강하다.
상당수 損保社들이 오는 3월말 결산을 앞두고 영업적자의 확대, 투자수익률 악화 등의 요인으로 결손위기에 처해있고, 그중 일부사들은 `배당압박`으로 인해 재무구조의 부실화를 감수해야 할 형편이다.
부분적인 요율 및 제도개선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자동차 보험손해율 악화, 사업비부담가중에 주식시장침체까지 겹친 탓이다.
결국 損保社들은 최악의 경영난속에서 최대의 격변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물론 대부분의 損保社들은 이 같은 상황과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적지 않은 변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산화 및 사무자동화를 통한 업무효율증대, 對고객서비스 강화, 사업비절감운동, 모집조직 강화 등 너나없이 경영합리화를 통해 경쟁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現代海上이 지난해에 이어 SS(Save & Service)92운동을 통해 사업비 절감과 서비스개선 운동을 全社적 차원에서 벌이고 있고, 安國화재가 GOOD SERVICE92운동을 시작하는 등 업계 전반에서 이와 같은 노력과 변신의지를 찾아보기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업계의 노력은 보다 근본적이고 혁신적으로 진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직도 만성화 돼있는 손보업계 내부의 과도한 외형경쟁이 적극 지양돼야 하고, 「단기 업적주의」위주의 근시안적 경영에서 탈피, 「質的경쟁」의 시대를 업계 내부의 힘으로 열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이밖에, 보험의 종합 금융화에 대비한 損保社 경영진들의 중장기적 경영전략마련이 시급하며, 전문인력 양성, 전문모집조직의 육성 등 효율적인 인력관리방안도 수립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대의 현안인 자동차보험문제만 하더라도 관련 정부부처간의 적극적인 협의와 개선의지가 없다면 손보업계는 마냥 「무거운 짐」을 짊어진 채 경주에 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손해보험산업이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업계와 당국의 변혁에 대한 공감대 설정이 긴요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는 일이 保險人들의 몫이다.
성화용 기자
시중銀行 - 「공공성, 수익성」사이 딜레마
개방화대비, 자금운용 자율화 先決과제
은행合倂시대 예고, 小賣금융∙경영合理化에 골몰
市中銀行들도 변화의 소용돌이 한 가운데 놓여있다.
軸을 하나로 밀어닥치고 있는 「自由化 開放化」라는 수레에 올바로 탑승하기 위해 적절한 「代案찾기」에 골몰하고 있는가 하면 國際化에 대한 장기적인 戰略수립에도 나서야 하는 버거운 부담도 안고 있다. 금융환경변화의 흐름에 대한 상황인식이나 정보수집 등 정황파악은 돼있는데도 구체적인 대응방안 마련과 실행을 놓고 고충을 겪고 있는 것이 현재 시중은행들이 처한 현실이다.
일례로, 하나의 고리로 연결돼 있다고 할 수 있는 개방화, 자유화에 대해 시중은행들은 UR협상, 韓美금융정책회의 등 일련의 움직임과 이에 대한 금융당국의 대응을 통해 타임스케줄은 이미 예측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시중은행들은 總論에 대한 이해의 일치 속에 名論을 놓고 고심하고 있는 형국이다. 같은 맥락에서 市銀은 몇 가지 주요변화에 대해 딜레마에 빠져 있다. 우선, 자유화추세에 대한 대응책으로 기업성추구가 절실한 가제로 떠오르고 있으나 공공성에 대한 부담으로 영업에 있어 파격적인 변화를 가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계 은행들의 방임적일정도의 자율적인 영업행태를 직시하면서도 국내 시중은행들은 경쟁우위만을 내세워 이를 쫒지 못하고 있다. 제도적인 규제에 앞서 시중은행들의 공공성에 대한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경영혁신」에 대해서도 시중은행들은 딜레마에 빠져 있다.
경영효율화를 위해 감량 경영 등 경영혁신에 나서고 있으면서도 왜 이를 지향해야 하느냐에 대한 명쾌한 답변을 찾지 못해 구성원들의 합의도출에서부터 애로를 겪고 있다.
‘살아남기 위한 개혁’이라는 답변에는 부정적 측면이 강하고, ‘일류은행이 되기 위해서’는 궁색한 변명으로 비춰지기 쉽기 때문이다. 임금억제로 표현되는 내부 경영상의 제약이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같은 제약 요인 때문에 市銀들은 완전한 경쟁 체제를 갖추기 위한 제도적인 보완작업을 선결과제로 지적하고 특히 자유화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개방화압력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선행조건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사실, 자유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내부경영, 금리, 자금운용(여신할당) 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자율권이 부여된 것이 없다. 인사권, 점포인허가, 증자 등 내부 경영상의 주요 사항들이 모두 당국의 규제하에 놓여 있다. 현재 市銀이 안고 있는 최대 과제인 경영혁신만 하더라도 인사 자율만 보장된다면 보다 일사 분란하게 추진될 수 있는 사안임에 틀림이 없다.
금리, 자금운용면에서도 제약은 마찬가지로 상존해 있다.
국제화도 제도적인 부담을 안고 있는 현실이다.
국제화의 큰 가닥은 해외에서의 국제업무 확대와 국내시장에서 외국은행과의 경쟁으로 양분돼 있다.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은 이미 외국은행과 국내은행간 불균형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국내시장의 방어자세도 미흡한 상황에서 해외점포의 업무영역확대 또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상호주의에 걸맞는 제도보완이 시급한 과제인 것이다.
이 같은 상황 때문에 市中銀行들은 개방화라는 부담보다 국내경쟁에 더 큰 관심을 쏟고 있는 현실이다. 제한된 경쟁 속에서의 활로모색이 우선 발등의 불이 되고 「무한경쟁」은 이를 토대로 차후에 생각할 사안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시중은행들은 대부분 5년이내 은행합병時代가 올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고 이에 대한 대응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가장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소매금융 확대, 자금자립, 경영합리화작업 등이다. 대부분의 市銀들은 올해 영업목표의 1순위를 소매금융확대에 두고 있다. 이익은 다음문제이고 우선 수신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로 보고 경쟁의 성패를 가늠하는 잣대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市銀들은 전산투자, 점포확대 등에 심혈을 기울이고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개선 등 간접적인 전략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불붙기 시작한 자금자립, 경영합리화 등 주요과제도 지속적인 추진사항이다. 한편으로, 시중은행들은 자유화, 겸업화추세로 일고 증권, 보험 등 여타 금융기관과의 업무영역 싸움에도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이중에서도 국책은행의 업무영역이 점차 시중 은행화하고 있는데에도 우려와 함께 대응전략마련에 애를 쓰고 있다. 이와 관련, 최대현안은 시중은행의 금융채 발행허용문제로 최근 은행법시행령개정시 배제된데 대해 정책당국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市銀의 금융채발행은 외견상 자금조달의 다양화가 목적인 것처럼 보이나 여․수신구조의 불균형 해소가 주된 목적이기 때문이다. 시중은행들은 산업 합리화 대출 등 10~20년의 장기부실여신을 안고 있으면서도 기표는 매년마다 대환하는 편법으로 단기대출 항목에 집어넣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BIS기준지도 비율 이행 등으로 수익성 차원의 금융채 발행 필요성도 시급한 것이 市銀이 처한 현실이다.
이양우 기자
株式유통시장 - 「개방證市」걸맞는 새投資 패턴 시급
일반투자가 뇌동매매자제, 전문성 갖춰야
「기관」기능 확대, 증권사 約定高 경쟁탈피
단순한 재료 하나에도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유통시장은 증시개방과 함께 급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주목해볼만한 사항은 일반투자가의 경우 비록 시기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이른감이 없지 않으나 투자패턴에서의 변화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투자가들은 뇌동매매의 투자행태로 「상투 잡기」일쑤고 증권사는 지나친 약정실적 경쟁으로 외국인투자가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기관투자가들도 투신사의 경우는 6조원에 이르는 차입금 부담으로 실질적인 임무에 충실하기보다 오히려 「너울장세」의 파고를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보험 및 증권사도 기관기능보다는 자전 거래의 실시로 일반투자가의 투자판단에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국인투자가들은 편법을 통해 싼값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 거래량이 극히 적고, 고가인 주식을 대량매입해 줄 것을 상임대리인인 국내증권사에 주문, 농락하는 양상까지 빚고 있다.
사실 증시개방은 긍정적 측면으로 보면 신규수요자의 개입, 그것도 엄청난 자금력이 있고 장기적 투자성향을 가진 자금을 유치할 수 있다는데 커다란 호재가 될 만하다.
개방과 함께 당초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개장일 하루에만도 1천억원이 넘는 외국인투자가들의 매수주문이 쇄도했다.
이로써 개장지수는 전년도 폐장지수인 6백10.92를 무려 13.31포인트나 뛰어넘어 6백24.23을 기록하면서, 89년 이후 3년 만에 배당락지수가 배당부지수를 넘어서는 기염을 토했다.
이 같은 추세는 지난 2월초까지 꾸준히 지속돼 연초대비 10.8%인 67.15포인트가 상승 올 최고지수인 6백91.48을 기록했다.
거래량 면에서도 연초인 3일과 4일 평균 1천3백47만주가 거래됐을 뿐 매주 누적거래량을 거래일수로 나눈 일평균거래량은 최고지수를 기록하던 주까지 2천만주를 항상 상회했고, 특히 1월 넷째주에 이러한 장세호전을 반영하듯 직접적인 주식매입여력으로 간주되는 고객예탁금은 1조7천억원에 이르는 등 주변자금도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후 주가지수는 2월말까지 11.42% 78.98포인트가 하락, 종합주가지수가 6백12.5을 기록 연초지수를 밑돌았고 거래량 또한 1천만주대로 감소됐다.
물론 고객예탁금도 1조5천억원대로 주저앉았다.
외국투자가들의 개입과 함께 「低PER株의 혁명」이라 불리울만큼 상승세가 드높았던 내재가치가 높은 우량소형주가 불과 2개월만에는 낙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결국 선풍을 몰고 왔던 외국인투자가들만이 「치고 빠지기」식의 단타매매로 높은 수익을 올렸을 뿐 늦게서야 매입에 나선 일반투자가는 꼼짝없이 당한 꼴이 된 것이다.
현재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투자가 수는 8백 명을 넘어섰으며 유입된 자금만도 5천억 원에 달하고 있다.
올 한해 유통시장에 영향을 미칠 호재만도 여느 해와 달리 굵직한 것이 많다.
우선 주식시장개방은 차지하고라도 남북관계호전이 정상회담까지 도출될 경우, 증시 최대의 재료가 될 수도 있다.
또 總選과 大選이 있어 그동안 경험을 비추어 볼 때 긍정적 측면을 부각될 소지도 많다.
만일 나름의 자세정립이 없는 상황에서 이 같은 호재가 부각된다면 정보력이나 포트폴리오에 능한 외국인투자가에 의해 놀아날 가능성은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주관없이 雷同賣買를 일삼는 전근대적 투자관행을 버리는 것과 아울러 일본 증시개방시 이러이러했으니까 우리도 이에 따르면 되겠지라는 사대주의적 사고를 탈피해야 할 것이다.
증권사로서도 일시적 이익에 앞선 성장전략에서 과감히 탈피, 전문성을 提高시켜 국제경쟁력을 배양하며 이로써 신뢰성을 구축하는 기반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기관투자가들도 안정적 매수 세력으로서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당국으로서는 차입금 부담이 큰 투신자 등의 자금압박을 해소시키는 방안을 강구함은 물론 기타기금의 기간투자가로의 유도를 서둘러야 하며 유통시장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폭넓은 시야로 바라보아 시정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상우닫기

소비자금융∙설비金融기관 - 量産체제후 「규제」선회 업계 혼란
카드, 자금조달難속 減量∙內實 경영주력
信金∙信協, 서민금융 機關化․公信力 확보 관건
리스, 영업방향 잃고 흡수∙합병론 대두
소비자금융 및 설비금융으로 대변되고 있는 신용카드, 상호신용금고, 신협, 리스 등은 격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방향설정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소비자금융 및 설비금융 활성화 차원에서 신용카드, 상호신용금고, 신협, 리스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했다.
그러나 최근 규제일변도로 정책방향을 전환, 업계의 영업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정부의 정책변화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는 신용카드와 리스업계이다.
신용사회를 이룩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결국 신용카드사와 리스의 대거 설립을 허가해 주는 것으로, 귀결되어져 업계의 과다경쟁을 유발시켰다.
즉 정부의 신용사회정착을 위한 지원이 외부에는 카드업이나 리스업이 황금알을 낳는 고수익성 업종으로 인식되어 대기업이 카드업에 참여하고 리스 후발사들이 잇따라 설립되어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신규사 설립인가로 인해 과당경쟁체제에 따라 부작용이 속출, 신용카드사의 경우는 과소비 요인으로 지적돼 규제를 받게 됐다.
또한 리스사는 경제가 어려워 무역적자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외화리스 취급이 늘어 무역적자폭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명목으로 규제를 받게 됐다.
이처럼 카드사와 리스사는 정부의 신용사회정착을 위한 의지에 충실했던 것이 결과적으로는 이용한도가 축소되고 자금조달 원인 특수채 발행에 규제를 받는 처지가 됐다.
그러나 이미 과당경쟁으로 양적 부풀리기 성장을 해온 카드사와 리스사가 뒤늦게 정부의 규제에 맞추어 감량경영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다.
카드사의 경우, 정부의 규제에 따라 팽창위주의 영업이 아닌 내실위주의 영업을 전개, 회원의 자격요인을 강화하고 연체관리 등에 주력하고 있지만, 이미 확보해 놓은 회원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자금조달을 축소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리스사도 자금조달이 안되고는 영업을 할 수가 없으므로 자금조달이 절실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3월부터 채권종합관리방안이 실시되어 유일한 자금조달원인 특수채 발행에 차질이 생김에 따라 카드사와 리스사는 영업의 방향마저 잃어버리고 우왕좌왕하고 있다.
영업환경이 이처럼 악화되는 추세를 보이자 리스업계에서는 리스사간의 흡수 합병론까지 대두되고 있는데 상당한 설득력을 내포하고 있다.
즉 자금조달난으로 인해 영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지방단자사들이 종금사로 전환할 경우 메리트가 비교적 큰 리스업무의 취급비중을 늘릴 것이 예상되고 있고 시장성이 큰 한국기업들에 대해 외국 리스사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호신용금고와 신협은 자율화 개방화에 따라 주변 영업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음에도 불구 외형적으로는 양적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확고한 자리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즉 신용금고와 신협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양적성장에 걸맞는 질적 성장이 수반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신용금고의 경우는 양적팽창자체가 고객서비스확대, 금리 및 상품 경쟁력 우위 등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업계관계자들 스스로 인정하듯이 私債업자를 매개로 한 비정상적인 「자금조성」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맹점이 있다.
반면 신협은 현재 신협법 개정으로 三원화된 체계를 갖추었지만 대외적으로 금융기관으로서의 공신력을 갖기에는 아직도 요원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상호신용금고와 신협이 서민금융기관으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선결해야만 할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먼저 신용금고는 오랜 숙원인 金庫法 개정으로 업무의 다양화를 이루고 中央金庫의 설립을 통한 공신력제고가 필요하며, 지역사회에서 금융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점설치가 이루어져야 하고 신용관리기금의 제도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밖에 신용금고에 대한 외부회계감사제도 시정 및 지급결제기능을 가진 상품허용 등도 시급한 실정이다.
신용금고업계는 이 같은 문제들을 지난 80년대초 이후 10년 가까이 당국을 상대로 끊임없이 교섭을 해오고 있지만 아직 미결상태이다.
신협은 공신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융기관화해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있다.
아직까지 전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신협법 개정으로 공공업무 수납, 수표발행 등 환업무를 취급할 수 있는 자체적인 법적근거를 마련해 놓고도 상대적으로 업무협조를 받아야 하는 한국은행법 등이 개정되지 않아 업무를 진행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신협은 상품이 극히 한정되어 있고, 출장소 및 사무소 설치도 안되고 있어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신용금고와 신협은 이 같은 어려운 난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주어진 당면과제이다.
박정룡 기자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