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한국은행 추천 인사인 박철 한은 고문이 탈락한데 대해 "여전히 중앙은 행의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는 비판론도 제기되고 있다.
한은 일각에서는 새로 임명된 금통위원들이 경력으로 볼 때 거시경제에 큰 영 향을 미치는 금리를 결정하는 자리에 앉기에는 미흡한 것 아니냐는 "자격론"까 지 거론되고 있다.
3명의 신임 금통위원들은 시중은행과 국책연구원 등에서 잔뼈가 굵었으므로 "시 장"은 잘 알지 몰라도 "통화정책"을 결정하기에는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비판론은 이덕훈.이성남 두 새 금통위원이 이헌재 경제부총리 겸 재정 경제부 장관과 가까운 사람들이었다는 것과 맞물려 더욱 증폭되는 모습이다.
한은 노조는 이날 내놓은 성명에서 "특정 인맥의 사람이 금통위원으로 내정돼 재경부가 우회적으로 금통위를 장악하려는 음모라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주 장했다.
그러나 학계와 한은 일부에서는 "과거 금통위원에 금융전문가나 시장을 모르 는 사람들이 대거 임명됐던 전례에 비춰보면 진일보한 측면이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정부 관계자는 "민간 출신을 중심으로 시장의 목소리를 듣고 통화정 책에 반영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아 추천한 것"이라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