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카드 도입 본격화에 장애가 되고 있는 카드 비밀번호와 PIN번호 도입에 관한 은행권과 금융감독원 주장이 여전히 달라 해결 실마리를 못 찾고 있다.(본지 3월 11일자 1면 참조)
이런 가운데 은행권에서는 카드 비밀번호는 기존 4자리를 유지하는 반면 개인식별번호(PIN번호)를 단·복수 계좌 구분없이 적용하는 방향으로 결정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감독원은 이에 대해 보다 신중한 자세를 취하며 다소 시일이 걸리더라도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낼 것이라는 입장이다.
지난달 31일 금융감독원과 은행권에 따르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은행 CIO와 금융감독원 IT업무실장이 참석한 가운데 IC카드 비밀번호 적용에 관한 협의를 진행했으나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현재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단수계좌를 담고 있는 IC카드의 경우 비밀번호만을, 2개 이상의 복수계좌를 담고 있는 IC카드는 비밀번호화 PIN번호를 같이 적용케 하는 이원화 방식을 제시해 은행권으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은행권은 이처럼 이원화 방식을 적용할 경우 계좌 단·복수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개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사후에 계좌가 복수로 되거나 단수로 변경될 경우 이에 맞게 수정을 해 줘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더 복잡해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즉, PIN 도입을 하려면 단·복수 계좌 구분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김용범닫기

한편 국민,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들은 IC칩 현금카드 시범 발급을 전면 중단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