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LG텔레콤·국민은행의 ‘뱅크온’에 이어 SK텔레콤과 신한, 조흥, 우리은행의 ‘M뱅크’, KTF와 국민은행의 ‘K뱅크’, LG텔레콤과 기업, 제일, 외환은행의 ‘뱅크온’ 서비스가 일제히 시작돼 은행간, 이동통신사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3일 금융계와 이동통신사에 따르면 향후 모바일뱅킹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이동통신사와 은행 모두 상호호환을 위한 보안 알고리즘의 표준화를 해결해야 한다.(본지 2003년 12월 15일자 11면 참조)
또 서울시가 신교통시스템 구축이 완료될 예정인 오는 7월까지 모바일뱅킹 전용 휴대폰에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하지 말 것을 요구, 이에 대해 서울시와 협의도 시급하다.
◇ 보안 모듈 표준화 = 이동통신사, 은행간에 보안 알고리즘 표준화를 놓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M뱅크’를 제공하고 있는 SK텔레콤과 신한, 조흥, 우리은행은 ‘SEED’를 모바일뱅킹 보안 알고리즘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K뱅크’와 ‘뱅크온’을 제공하고 있는 KTF, LG텔레콤 진영의 국민, 기업, 제일, 외환은행 등은 ‘3DES’를 주장하고 있다. 또 암호화 대상도 ‘M뱅크’는 계좌비밀번호지만 ‘K뱅크’와 ‘뱅크온’은 계좌번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M뱅크’ 진영은 지난해 11월 금융감독원이 금융IC칩 공동망의 표준 보안 알고리즘을 ‘SEED’로 정했기 때문에 모바일뱅킹용 IC칩과 휴대전화와 동글간의 보안 알고리즘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결제원도 ‘SEED’로 보안 알고리즘 표준화를 유도하기 위해 은행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국민은행이 회의에 불참하는 등 좀처럼 해결 실마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가장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는 국민은행은 이미 지난해 9월부터 ‘3DES’를 이용한 뱅크온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어 이를 ‘SEED’로 교체할 경우 상당한 부담이 있기 때문에 SK텔레콤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M뱅크’ 진영과 ‘K뱅크’, ‘뱅크온’ 진영간에 서로 다른 보안 알고리즘으로 인해 상호 연동이 되지 않아 제휴 은행이 아닌 경우 금융자동화기기 등에서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최근 고객 서비스 제고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모바일뱅킹이 자칫 반쪽 서비스로 전락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 교통기능 탑재 논란 = 서울시가 후불교통카드기능 탑재 유보를 요청함에 따라 이 문제 또한 시급히 해결돼야 할 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신교통카드시스템 가동이 4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표준규격과 다른 카드가 발급되고 중복투자와 특정 해외업체 의존을 해소키 위해 후불식교통기능 탑재를 7월까지 유보해달라는 공문을 최근 통신사에 보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서울시의 의견을 받아들여 LG카드를 통한 후불식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한다는 당초 계획을 유보했다.
LG텔레콤은 지난해 9월 시작한 국민은행 ‘뱅크온’ 서비스에만 후불식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돼 있어 이미 공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계획이다. 신규 가입자에게도 기능이 탑재된 제품을 계속 판매할 방침이다. 기업, 제일, 외환은행과 제휴를 맺고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뱅크온’은 후불식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돼 있지 않다.
KTF는 서울시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기존 방침대로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하기로 했다.
KTF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와 협의를 진행중에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원만한 협의가 이뤄져 교통기능 탑재 유보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