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글로벌의 분식회계와 신용카드사 유동성문제 등으로 금융시장이 휘청했지만 금융시스템이 나름대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금융구조개혁의 성과가 뒷받침 됐기 때문이다.
또한 신용카드로 인한 신용불량자 문제는 우리 사회를 급격한 위기로 몰아갔지만 이를 통해 신용사회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값비싼 레슨비로 생각하자는 의견도 학계에서 제기되면서 국내 금융권을 보듬으려는 노력도 있었다.
2004년 금융계의 최대 화두는 은행권을 필두로 대형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과 외국자본과의 경쟁으로 요약된다.
먼저 은행권에서는 지난해 대형화 작업을 마무리한 선도은행들과 외국계 은행간의 경쟁이 보다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 국내은행인 국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그룹이 부상하면서 한국에서 시장확대를 노리고 있는 씨티와 HSBC 등 외국계 유수 금융그룹간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
또한 증권업계에서는 지난해 건설증권이 증권업 면허를 반납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 수 개의 증권회사가 M&A 시장에 나와 있으며 한투·대투·동투 등 업계전반에 걸쳐 인수·합병 바람이 휘몰아 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두번째 화두는 보험업계의 방카슈랑스와 증권업계의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등으로 대변되는 금융권의 영역구분의 파괴다.
각 손보사들의 사장들은 ‘2004년 신년사’를 통해 올해에는 온라인 직판채널의 증가로 인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동시에 방카슈랑스로 인한 수익구조의 변화 등 손보시장이 급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각 손보사들은 내실위주의 경영전략으로 초점을 맞춰 다소 보수적인 사업계획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증권업계에서는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이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증권, 투신업 등이 은행, 보험사들과 한판 경쟁을 준비하고 있다.
유가증권 이외에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투자경험이 없는 업계로서는 당분간 고전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한편 카드사로 대변되는 여신업계의 올해 활약도 주목된다.
지난 한 해 여신업계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LG카드로 휘청거렸던 카드사태와 우리카드, 외환카드의 은행합병 결정 등으로 카드사는 어수선한 한 해를 보냈다.
이밖에 영업환경이 극도로 악화됐던 리스, 할부, 신기술금융 등도 올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할 지도 관심사다.
홍성모 기자 hs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