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은행중앙회(이하 중앙회)가 업계 공동의 이익 대변자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17일 중앙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업계에서는 중앙회가 지금의 역할에서 탈피해 상호저축은행의 중앙은행과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요구했다.
지금까지 중앙회는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업무 및 기능을 다하지 못했으며 또한 일선 상호저축은행에 장기적인 비전제시 및 이익대변자로서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것이 업계 전체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중앙회에서 십 여년 근무했다고 밝힌 일선 저축은행 관계자 A차장은 “상호저축은행이 보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중앙회’가 아닌 순수 협회기능 중심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말하면서 “상호저축은행 위에 군림하는 중앙회가 아닌 업계의 진정한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협력자 내지는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B상호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일선 저축은행이 지금보다 우량한 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앙회의 조사권 기능이 강화돼야 한다”고 밝히면서 회원사의 회원분담금이 결국 중앙회의 독자적인 부실징후 저축은행 조사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과거 퇴출된 수많은 저축은행의 부실이 은행에게도 책임이 있지만 제 때 조사권을 행사하지 못해 조사권이 유명무실하게 된 중앙회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중앙회가 독자적으로 개발·운영하고 있는 공동 전산 시스템과 관련 업계의 불만이 쏟아졌다.
현재 자산 규모 1조원 이상 되는 소수 저축은행을 제외한 중소규모의 대부분 저축은행들만이 중앙회의 전산망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자체적으로 전산시스템을 개발할 수 없는 중소규모 저축은행들이 중앙회의 전산망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중앙회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자체적으로 전산시스템을 운영하는 소수 대형 저축은행과 중앙회 전산망을 공유하는 중소규모의 저축은행간 의견의 합의 도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앙회 입장에서도 전산시스템을 통한 업계 공동의 이익을 도모하기는 어렵다.
이에 대해 자체적으로 전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C상호저축은행의 전산운영담당자는 “앞으로 금융기관의 존립 및 성패는 전산 및 IT투자액에 비례할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는 중앙회의 전산망을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C상호저축은행은 30여명의 전산담당 요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회와 비교할 때 절대 뒤지지 않는 인력이다.
아울러 중앙회 및 업계 모두가 더욱 선진화된 저축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앙회가 관리하고 있는 업계 공동온라인망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켜 업계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업계가 갖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성모 기자 hs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