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도 은행들에 외화여신 자제를 요청하는 등 비상대책수립에 들어갔다.
금감원은 18일 북핵위기와 함께 미국과 이라크의 전쟁이 발발할 경우 국가신인도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 은행에 외화여신을 자제하는 등 외화자산운용에 만전을 기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미국과 이라크 전쟁에 대비한 은행의 비상대책 준비 상황을 점검한 결과 자체적인 컨틴전시플랜(Contingency Plan)에 따라 대응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현재로선 아무런 문제가 없는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시중은행대부분이 모범규준에 따라 위기상태를 단계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적합한 대응책을 준비해 놓은 상태며 아직까지 외화차입 무산이나 연기, 포기 등의 돌출사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쟁등 위기상황에 대비해 마련된 모범규준은 `요주의`, `준위기`, `위기` 등 3단계로 나뉘어져있으며 `요주의`의 경우 외화자산 수급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유동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도록 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의 상태를 `요주의`상태로 분류 하고 있다"며 "전쟁 직전이나 직후 상태인 `준위기`시에는 외화자산 수급을 제한적으로 통제하고 회수가 불확실한 외화자산의 경우 매각작업을 진행하도록 돼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쟁이 장기화되는 `위기`상황에서는 자산매각을 본격화하고 당국에 유동성 지원을 요청하게 된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