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관심의 초점은 현대가 지원한 자금이 순수한 대북사업에 쓰였는지, 아니면 남북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뇌물(bribe)로 쓰였는 지에 모아지고 있다.
손승태 감사원 1차장은 "언제, 어떻게 자금이 북한으로 들어갔는 지 여부를 밝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등은 진상규명과 책임자 추궁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일연구원(KINU)의 애널리스트 박형중은 "감사원의 조사결과는 많은 허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가뜩이나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국민들이 북한과의 향후 교류에 대해 더 비판적인 자세를 갖도록 만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정부에 "조지 W 부시 스타일"로 북한과 교류할 것을 요구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덧붙였다.
WSJ은 또 현대 스캔들이 핵 문제로 고조되고 있는 북한과의 외교 갈등에 있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했다.
WSJ은 현 정부가 북한에 대해 경제적인 지렛대 역할을 하는 위치에서 논쟁을 해결하고자 해 왔으며 만약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제한을 받게 된다면 북한이 더 적대적인 자세를 갖도록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