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참여연대 김상조닫기

이전에도 금융산업노조는 당시 이면합의 내용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수차례 정부측에 약속이행을 요구했으나 가타부타 답변조차 없다.
또 대선기간중 노무현 대통령당선자는 두 차례에 걸쳐 조흥매각에 대해 헐값논쟁을 불식시키기 위해 시간을 두고 검토해야 한다며 차기정부에서 논의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파나 못 파나 두고 보라’며 정부가 조기매각을 강력히 주장하자 한 발 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금 조흥매각을 연기하면 ‘대외 신인도’가 하락한다며 해외투자자들이 약속이행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서울은행 매각 당시 하나은행의 손을 들어주기 위해 론스타 등 해외투자자들을 들러리로 세웠다는 의심을 받아왔으며 이런 의심은 아직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헐값논란, 신한과의 밀약설 등 각종 의혹들이 판치는 상황에서 신한지주로의 조흥매각이 ‘대외신인도 상승’에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대선기간중 한 표가 급했던 정치인들의 약속을 기대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한심할 뿐입니다.”
삭발한 채 근무하고 있는 한 조흥은행 직원의 솔직한 토로다.
김정민 기자 jm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