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선물거래법상 2004년 1월 1일까지는 증권거래소에서 취급되는 지수선물이 선물거래소로 완전히 이관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부에서는 이관일정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어 시장은 물론 증권사 및 투자자의 혼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물업계는 오는 2004년 1월 1일로 명시된 지수선물 이관이 채 1년밖에 남지 않음에 따라 이관 준비기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수차례 이관일정 발표를 서둘러 줄 것을 정부에 촉구해 왔다.
그러나 정부는 지수선물 이관과 관련해 그 동안 거래를 취급해 오던 증권거래소가 이관작업을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연말 정치 일정까지 겹치면서 구체적인 이관일정 발표를 계속 늦추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지수선물을 선물거래소에서 거래하되 시스템은 증권전산을 이용토록 권장하는 등 새로운 논쟁거리마저 제공하고 있어 이관일정에 큰 차질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물업계는 정부의 이관일정 발표가 늦어질수록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선물거래시장 및 증권사, 투자자들 뿐이라며 정부의 일관되지 못한 정책을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선물거래소 관계자는 “이관일정이 다소 늦어진다 하더라도 선물거래소는 그 동안 내부적으로 이관작업을 준비 해 왔던 만큼 큰 문제는 없다”며, “다만 증권사 및 투자자들의 준비기간이 턱 없이 부족한 만큼 이에 따른 시장에 혼선은 불가피한 상태”라고 말했다.
우선 정부의 이관일정 발표가 늦어지게 되면 증권사의 시스템 개발기간과 모의시장 운영기간도 그 만큼 단축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증권사의 입장에서는 정부가 선물거래소의 시스템을 이용토록 할 것인지 증권전산의 시스템을 이용토록 할 것인지를 확실히 명시해 주어야만 이에 맞춰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으며, 거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모의시장을 운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만약 선물거래소의 시스템을 이용하게 될 경우 개발기간만 적어도 6개월 가량이 소요될 수 있다”며, “장애없이 정상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의 이관일정 발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 선물회사는 물론 투자자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지연됨에 따라 투자의 혼선을 초래해 자칫 시장에 충격을 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기도 하다.
한편 이에 대해 재경부 변양호 정책국장은 “양 거래소는 물론 증권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며, “어차피 2004년 1월 1일까지 이관일정이 명시돼 있는 이상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