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전산은 내년 1월부터 온라인증권거래 투자자들에게 발급되는 공인인증서 비용으로 1만원을 책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전산은 1만원으로 책정한 이유로 타 인증기관과의 형평성 문제와 시스템 구축에 따른 투자비 및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증권전산은 온라인증권거래 투자자 가운데 공인인증서 발급을 희망하는 고객을 약 200만명으로 추정할 경우 80∼90억원 가량의 운영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인인증서 발급으로 약 200억원의 수익이 발생하면 이 중 100억원 가량은 시스템 운영비로 지원하고 약 100억원은 증권사와 공동분배 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증권전산이 자체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한 것과 달리 전체 온라인거래증권거래 투자자가 600만명임을 감안할 때 약 300∼400만명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따라서 증권전산이 거둬들이는 수익도 2배가량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공인인증서 발급을 희망하는 온라인증권거래 투자자 수를 너무 낮게 예상 한 것 같다”며, “발급을 희망하는 온라인증권거래 투자자가 300∼400만명이 되더라도 시스템 운영비는 큰 차이가 없는 만큼 증권전산은 폭리를 취하게 된다”고 말했다.
업계는 또 공인인증서 발급비용이 높게 책정될 경우 투자자가 상당 부분을 부담할 수 밖에 없어 이 같은 상황에서 공인인증서 발급에 따른 초과 수익을 증권전산과 증권사가 공동배분 한다면 고객들의 불만만을 가중시키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발급비용을 고객들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선에서 산정하고 향후 추가되는 운영비는 증권사가 공동 정산해 주는 방식이 옳다”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