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고금리 장부가 펀드를 운용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 왔던 이들은 최근 금리 하락에 따른 수익률 저조와 시가형 펀드 운용 전환으로 고객 유출이 빨라 지면서 수익판매고가 급감하고 있다. 또 증권사간의 치열한 수수료 경쟁과 질 낮은 사후 서비스도 증권사들의 수익증권 판매 실적 악화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증권사 및 전환증권사들이 수익증권 판매실적을 높이기 위해선 펀드판매 정책 및 고객관리에 대한 의식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불과 1∼2년 전까지만 해도 증권사 및 전환증권사들은 개인 및 법인으로부터 주식형 펀드는 1.0∼2.0%, 채권형 펀드는 0.8∼1.0%의 펀드운용 수수료를 받아 왔다. 이들이 이처럼 높은 수수료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당시만 해도 금리가 10% 이상으로 높았으며 파산 및 부도채권에 대해서 판매사가 손실을 책임지는 장부가 방식의 펀드 운용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금리가 5%대로 떨어져 수익률이 낮아지고 펀드운용 방식이 기존의 장부가 펀드운용에서 펀드운용에 따른 손실을 책임지지 않는 시가형 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고객 유출이 빨라져 채권형 펀드의 경우 0.3%까지 수수료가 떨어졌다.
문제는 이처럼 저금리에 따른 수익률 감소와 펀드 운용방식 전환으로 증권사 및 전환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수익증권이 투자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데다 이에 대한 사후 서비스 마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수익증권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기에만 급급하고 펀드 운용관리 및 사후 서비스 등 고객을 위한 서비스는 뒷전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수준 높은 사후 관리 서비스가 마련되지 않고서는 수익증권 판매에 따른 수수료 인하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증권사 및 전환증권사들이 외형 위주의 사업을 펼치다 보니 정부기관 법인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과다한 수수료 경쟁을 펼친 것도 결국 수익증권 판매실적의 악화를 초래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국민연금의 경우 투신사를 대상으로 펀드운용 입찰을 실시해 수수료를 대폭 낮추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법인기관이 펀드운용을 위해 투신사를 대상으로 입찰을 실시해도 투신사들이 이에 참여하지 않으면 된다"며, "결국 대외적 과시를 위해 투신사들이 최저 수수료를 받고서라도 입찰에 참여하고 있어 전체적인 수수료 기준까지 낮아지게 됐다"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