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제시한 증안기금 이익금 2500억원의 시장 투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금융정책협의회를 개최, 증권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증안기금 이익금 2500억원을 시장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힌바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증안기금이 이미 해산 결의돼 청산과정을 밟고 있으며, 자칫 투자자들에게 시장변질의 우려를 자아낼 수 있는만큼 정부의 제2증안기금 조성은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증안기금은 증시안정을 위해 지난 90년부터 증권, 은행, 보험, 상장기업 등이 자금을 출자해 조성된 것으로 5조원 가량이 운용 돼 오다 지난 96년 우리나라의 OE CD가입과 국내 선물시장이 개장되면서 시장을 변질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돼 청산키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증안기금은 내년 5월 3일까지 청산될 예정으로 원금 9000억원과 이익금 2500억원은 조합원에 돌려주게 된다.
그러나 최근 국내 증권시장이 혼조를 보이자 정부가 원금을 제외한 2500억원의 평가 이익금을 증시에 투입하겠다고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미 청산절차를 밟고 있는 증안기금을 다시 운용하기 위해선 청산위원회 결의와 조합원으로부터 동의를 얻어내야 하며 시장변질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구 마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현재 청산절차를 밟고 있는 증안기금의 평가 이익금을 증시에 투입하려 하지만 청산위원회나 조합원으로부터 동의를 얻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비록 평가 이익금을 투입하더라도 외국계 펀드메니저나 투자자들의 시장변질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이를 운용할 새로운 기구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