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내달부터 올 연말까지 증권사들로부터 거래수수료를 받지 않겠다고 밝힌 증권유관기관들의 수수료 면제 조치도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라며 업계가 이에 대해 공동 대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향후 파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거래소와 증권예탁원 등 증권유관기관은 올 초 각각 943억6000만원, 497억원의 거래수수료 수입예산을 수립했으나 9월 현재 100%이상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거래소의 경우 이달 17일 현재 누적거래수수료가 1400억원 가량으로 올초 수립한 예산목표치보다 약 500억원 가량을 초과했고 증권예탁원도 이달 27일 현재 529억원의 누적거래수수료를 올리며 30억원 가량이 잉여금으로 남게 됐다.
이처럼 증시불안으로 국내 증권사들의 수익구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소 및 예탁원의 거래수수료 수입만 대폭 늘어나자 증권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아울러 이들 유관기관들이 최근 발표한 거래수수료 한시 면제조치는 거래수수료율 현실화를 외면한 선심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99년 이후 거래대금이 늘어나면서 유관기관들의 거래수수료도 대폭 증가해 왔던 게 사실”이라며, “올해의 경우 국내증시가 좋지 않아 대부분의 증권사들의 경영상태가 어려운데도 유관기관들의 수수료 수입이 목표치를 넘어섰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과거에 비해 각 증권사마다 거래대금이 늘어나긴 했지만 온라인약정이 많아지면서 수수료는 오히려 낮아졌다”며, “그러나 유관기관들이 증권사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수수료율은 여전히 높아 업계의 불만을 사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증권유관기관들이 증권사에 적용하는 거래수수율은 0.01 09%로 작년 8월 이전 0.0135%보다 다소 낮아졌다.
그러나 증권사들은 거래수수료의 경우 유관기관들간의 합의에 따라 충분히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만큼 올해처럼 증시가 불안한 상황에서는 증권사들의 수익 악화를 고려해 거래수수료율을 현실에 맞게 적용했어야 옳았다는 입장이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