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장 “지금처럼 해선 세계적 은행 탄생 못해…”
‘은행장들의 잇단 강성 발언 어디까지 갈 것인가’. 최근 들어 주요 은행의 은행장들이 행내외에서 금융당국의 정책에 비판을 가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금융권 최고의 뉴스메이커로 일컬어지는 국민은행의 김정태닫기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주요 은행장들의 소신성 발언이 이어지면서 금융계가 술렁이고 있다. 평소 강성 발언을 서슴없이 해 주목을 받고 있는 김정태 행장과 정건용 총재의 발언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 그리고 평소 학자 스타일의 이미지를 굳히고 있는 우리은행의 이덕훈 행장도 한몫 거들고 나섰다.
금융당국을 대상으로 한 비판은 김정태 행장으로부터 시작됐다. 김행장은 “정부가 은행의 민영화를 철저히 하려면 은행 주식을 단 1주도 보유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의 은행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행장은 특히 “국민은행의 주가가 정부 투자 시점에 비해 12배나 올랐는데 정부가 왜 지분을 처분하지 않는지 모르겠다”며 “정부가 지금처럼 모(母)은행과 자(子)은행 간 정보 공유를 금지하는 것도 불합리하다”고 말해 한때 전윤철 부총리와의 설전을 유발하기도 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올 하반기나 내년쯤에는 반드시 신용리스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니 대비해야 한다”며 ‘시장 전문가’로서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정건용 총재는 한국은행은 콜금리를 진작에 올렸어야 했다며 “한은이 시장에 보내는 금리 시그널은 양치기 소년의 메아리가 된 지 오래”라고 한은의 금리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총재는 공자금이 투입된 은행의 임직원들에 대한 예보로부터의 무더기 손배소청구촉구와 관련 “예보가 투망식으로 손배소를 남발하면 은행원들이 기업 대출에 몸을 사려 신용경색이 올 수도 있다”고 말해 관심을 끌기도 했다.
이러한 정총재의 발언과 관련 일부에서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시각도 있지만 평소 정총재는 언행이 일치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 실제로 정총재는 자리보전만 하려는 ‘철밥통’ 사고부터 깨부수라고 강조하며 수익을 못 내는 은행지점을 과감히 폐쇄해 나가겠다고 선언하는 등 행내 분위기 쇄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덕훈 행장은 하반기 경영전략 회의를 통해 국내 은행중 차별화된 은행은 없다고 강조하며 “인수합병이 붐처럼 일고 있지만 나만의 경쟁력이 없이는 합병해도 결국 마찬가지일 뿐”이라며 합병대세론에 반기를 들었다.
이와 함께 이행장은 미국의 경우 약 1만700개 은행이 존재하지만 다들 독자적인 영역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살아나가고 있다는 실례를 들며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은행의 순위를 일괄적으로 매기는데 익숙할 뿐 ‘자기 은행만이 가진’ 특성을 살리는 데는 낙제점이다”이며 “은행들이 남들이 하는 방향으로 우르르 좇아가는 형상이 계속돼서는 세계적인 금융기관이 탄생할 수 없다”며 신랄한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이에 대해 금융계의 반응은 크게 엇갈리고 있는데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을 대신 분출했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개인의 신상을 위한 고도의 전략이라는 시선도 만만찮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