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권의 공동백업센터 구축이 비용산정 문제로 인해 본격적인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보험개발원이 최근 중소보험사에 보낸 공동백업센터 설립 제안서의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해 해당사들이 난감해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개발원은 그린·대한·동양·신동아·쌍용·제일화재와 서울보증보험에 공동백업센터 참여를 위한 제안서를 보내고 참여여부를 이달안에 회신토록 했다.
하지만 백업센터 참여여부를 결정키로 한 손보사들이 비용에 대한 기준안을 잡지 못해 참여여부 결정을 놓고 머뭇거리고 있다.
백업센터 참여를 검토중인 한 보험사 관계자는 “개발원이 제안한 비용중 80~90%가 가변적이며 확실한 비용은 10-20%에 불과해 비용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보험개발원이 제출한 제안서에는 면적사용료 등 건물비용, 운용인력에 대한 인건비, 통신회선 비용 등만이 있을 뿐이며 이것도 구체적으로 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각 보험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비용절감 방안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IBM메인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에는 독자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다만 IBM메인프레임 사용 기업들이 참여할 경우 한국IBM의 재해복구서비스에 한해 30%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만 포함돼 있다. 하지만 보험사중 IBM메인프레임을 사용하는 기업은 동양·신동아·제일화재뿐이며 이들 3개 업체가 모두 참여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어 한 업체라도 빠지게 되면 이마저도 지원이 불가능해 진다.
업체 관계자는 “추가증설비용, 1회선당 통신비용과 재해발생시 비용, 공동운용인력비용 산출 등 아직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돼 있다”며 “정확한 비용분석 없이 공동백업센터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보험개발원측은 참여사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각사의 비용분담분을 산출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실측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만 계량화했으며 계속 보험사들과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공동백업센터 참여여부를 검토하던 대한화재와 그린화재는 재해복구사업을 내년으로 미룬다는 방침을 정하고 공동백업센터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