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업계의 불황속에서도 게임분야의 회사들만은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올해 총 1500억 이상의 자금이 게임펀드로 조성될 예정이어서 이같은 호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에서 첫선을 보인 게임펀드는 문화관광부 산하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게임전문투자조합을 결성한 뒤 넷마블과 한게임 등 게임업체들까지 가세, 게임 펀드 조성 붐을 일으키고 있다.
이처럼 게임 펀드 조성이 열기를 띠는 것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 대박 사례 이후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이 소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급부상한 데 따른 것이다.
또한 게임벤처에 대한 투자 역시 지난해 말 게임 유료화로 월 15억원 정도의 안정적 매출을 올리는 중형 게임벤처들이 등장하면서부터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산하기관뿐 아니라 창투사들도 ‘될 성 부른’게임벤처를 발굴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은 현재 운용하고 있는 게임전문투자조합을 올해 3개에서 내년에는 5개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국게임산업개발원과 문화콘텐츠진흥원이 창투사들과 공동으로 조성한 펀드자금 650억원을 비롯해 중소기업진흥공단이 100억원 규모의 게임펀드 조성을 추진중이다.
이에 엔씨소프트 한빛소프트 등도 각각 200억원 규모의 게임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정통부도 140억원의 자금을 온라인게임개발 투자에 지원하겠다고 나서 게임분야 총 투자규모는 15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계산이다.
한편 이러한 메리트 때문에 투자회사간 유망한 게임벤처 확보전도 치열하다.
이미 게임펀드를 운영하고 있는 한솔창투, 드림디스커버리 등은 물론이고 삼성전자, SK글로벌 등의 대기업 투자팀까지 참여해 온라인게임벤처 확보는 전쟁을 방불케 하고 있다.
KTB네트워크 오세진닫기

또 그는 “‘네이비필드’는 오픈베타 서비스를 거쳐 올해 말 경에 상용화 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KTB네트워크는 자금력이 부족한 유망 게임업체의 프로젝트에 투자해 게임을 유료 서비스 한 후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