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이들 증권사들은 올 12월까지 원격지 백업 구축을 완료해야 되나 최근 부담스러운 구축 비용과 향후 효율성 문제 등으로 인해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얼마 전 금감원이 발표한 ‘금융회사 재해복구센터 구축 현황’에 따르면 총 45개의 증권사 중 원격지 백업 구축을 완료한 증권사는 5개에 불과해 이 같은 사실을 더욱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처럼 중소 증권사들이 원격지 백업 구축에 시큰둥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과중한 구축 비용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현재 원격지 백업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적게는 30억원 많게는 120억원 가량이 필요하며, 금감원에서 요구하는 3시간 내 원격지 백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대략 60∼70억원 예산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전언.
따라서 이들 중소 증권사들은 올해 전체 IT예산 가운데 30% 이상을 백업 구축을 위해 책정해 놓은 상태다.
또 이들 증권사들은 백업 구축이 완료 된 후에도 자연재해나 전쟁 등이 일어나지 않는 한 백업 시스템이 과연 얼마나 실용성이 있을 지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증권업계에 수 십년 동안 몸담아 왔다는 한 관계자는 “그 동안 국내 증권사를 보더라도 전산사고는 극히 드문 일이었다”며, “물론 만약에 사태를 대비해 백업 구축을 해 두어야 할 필요는 있지만 부담스러운 예산을 투입해 가면서까지 일률적으로 백업 구축을 해야 될 필요가 있을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차라리 전산 인력 양성 및 관리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더 낫다” 고 토로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측은 증권사의 원격지 백업 구축은 권고 사항이지 강제 사항은 아니라며, 비용이 부담된다면 공동 백업 구축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