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의 벤처투자가 가시화되고 있어 벤처캐피털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농협은 작년말 벤처투자 관련규정을 신설, 이미 상반기에 2개 펀드에 출자 계획을 확정한 상태다. 이는 올해 투자금융쪽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투자업무를 강화하겠다는 농협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11일 농협에 따르면 농협은 중기청-중진공이 주도하고 한솔 아이벤처스가 업무집행조합원으로 참여하는 이노비즈 펀드에 출자할 계획이다.
또한 무한투자가 업무집행조합원인 DTV(대덕 테크노밸리)펀드에도 출자자로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농협은 1/4분기에만 2개의 펀드에 출자하게 된다.
아울러 농협은 각 부서가 각각 따로 진행하고 있는 투자업무 통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 관계자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나 벤처조합투자 등을 각각 다른 부서에서 담당하던 것을 투자금융업무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업무 통합시 책임한계가 불분명해지고 농협의 경우는 시중은행과 달리 기능별 조직이기 때문에 통합에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관계자는 “벤처투자나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경우엔 인큐베이팅 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심사주체가 되기 보다는 조합출자 형식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농협은 이미 계획된 2개의 펀드 이외에도 정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나스닥펀드 출자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스닥펀드의 공동 업무집행조합원인 산은캐피탈과 스틱아이티벤처투자는 농협측에 나스닥펀드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마친 상태다.
농협 관계자는 “작년말에 신주인수, 전환사채, 투자조합출자를 통한 벤처투자 규정을 신설했다”며 “현재는 조합출자부분에 대한 세부지침만이 마련된 상태여서 벤처투자 초반에는 전환사채나 투자조합출자를 통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나스닥펀드에 대해 듣기는 했지만 출자부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가시적인 계획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농협은 앞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 ABS 수탁업무 등의 투자업무도 강화할 계획이다.
농협은 앞으로 SOC 위주의 프로젝트 금융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ABS 수탁업무에서도 올해 90억, 내년도 160억원의 수익실현을 계획하고 있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