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기관들이 인증서를 네트워크나 서버에 저장해 이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증서를 네트워크나 서버에 저장하면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전자금융거래를 할 수 있어 모바일 서비스가 발달하고 공인인증서 사용이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전자거래 정보가 해킹 등의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정보보호 문제가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결제원 한국증권전산 등이 공인인증서를 네트워크나 서버에 저장하는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금결원은 얼마전부터 공인인증서를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방식의 서비스 실현 여부를 검토중이다. 인증서가 네트워크에 있으면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전자거래를 할 수 있어 인증서 사용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PDA 핸드폰 등을 통한 모바일 거래도 편리해진다.
현재는 공인인증서를 개인 PC나 디스켓, USB 포트 등에 저장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자금융거래시 인증서가 저장돼 있는 PC만을 이용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을 받는다.
금결원 관계자는 “인증서를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방식의 실현 가능성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증권전산도 시스템 구축을 전제로 서버 저장 방식의 인증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다. 증권전산 역시 서버 저장 방식의 인증 서비스를 통해 인증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증권전산 관계자는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의 인증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수요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지만 시스템 구축을 염두에 두고 서비스 실현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공인인증기관들은 인증서를 네트워크나 서버에 저장해 이용하도록 하는 경우 정보보안의 취약성이라는 과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증권전산 관계자는 “인증서를 서버에 저장하면 장소에 제한없이 전자거래를 할 수 있지만 해킹 등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현재 상황에서도 인증서 사용이 확대되도록 공인인증서의 키 저장장치인 스마트카드와 리더기, USB 포트 등의 보급에도 함께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