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1조5천억원의 추가 공자금 투입이 결정된 이후 대한생명 매각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대한생명 공자금 추가 투입으로 그동안 부실 꼬리표인 자산부족액이 대부분 충당됨에 따라 지급여력비율은 물론 재무상태에서도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P&A 방식으로 흡수한 현대, 삼신생명의 부실 규모가 예상외로 커 향후 변수가 될 수 있지만 현재 대한생명 영업력과 정부의 매각의지를 볼 때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인해 금감위와 예보는 대한생명 조기매각에서 한발짝 물러나 최대한 적정가격을 받아낸다는 입장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규모가 줄어든 데다 인수자가 예상외로 많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최근 예금보험공사는 매각주관사인 메릴린치를 통해 50여개가 넘는 인수 대상업체에 의향서를 발송했으며 메릴린치도 다수의 업체에 의향서를 보내 매각가격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반면 영업 시너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한생명 자체 매각추진팀은 전체적인 매각 작업에 의문을 나타내면서 예보, 메릴린치와의 매각관련 자료공유는 물론 의견 교환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부가 대한생명의 대주주인 상황에서 당연한 것이지만 일각에서는 대한생명 매각추진팀으로써 기본적인 매각 진행 상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유력한 인수업체로 알려진 한화그룹 관계자는 “투자의향서 제출 이후 구체적인 실사를 벌이겠지만 현단계에서 매각 주체간 의중이 달라 혼란을 겪고 있다”며 “대한생명과 관련해 기본적인 재무자료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