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에는 증권업계에도 공인인증서와 전자화폐 신용카드 등이 내장된 다기능 증권카드가 도입될 전망이다. 최근 증권전산과 일부 대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공인인증시스템 구축시 부가서비스 개념의 다기능 증권카드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카드가 발급되면 그동안 제한적인 서비스를 받았던 증권 고객들도 하나의 카드로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온라인 결제시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증권사와 증권전산의 이 같은 움직임은 은행 카드사 등 타금융기관과 관련업체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현재 800만장(지난 2월기준) 이상의 증권카드가 발급된 것을 감안하면 증권업계의 다기능 증권카드 도입은 은행 카드사로 국한돼 있던 국내 스마트카드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식거래의 대중성을 감안하면 다기능 증권카드의 도입은 스마트카드의 빠른 보급 확대는 물론 이용 채널 등 카드시장의 흐름을 완전히 뒤바꿀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증권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일부 대형증권사와 증권전산이 다기능 증권카드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미 증권전산은 다기능 증권카드 개발을 위해 전자화폐 카드사 등 관련업체들과 제휴를 맺은 상태며 관련 시스템 개발도 진행중이다.
증권전산 관계자는 “현재 다기능 증권카드 서비스를 위해 관련 시스템 개발 및 제휴 업무를 추진하고 있으며 증권사들과 논의해 공인인증시스템 구축시 단계별로 서비스할 예정”이라며 “공인인증시스템이 구축된 증권사들은 일부 기능들을 고객에게 서비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형증권사들도 다기능 증권카드 도입에 대해 적극적이다. 다만 증권사들은 다기능 증권카드가 기존 카드와는 달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리스크가 크고 개발 및 보급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를 신중하게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다기능 증권카드 도입을 위해 자체적으로 비용과 개발 방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기존 카드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현재로선 가장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다기능 증권카드가 도입되면 온오프라인을 통한 신규고객 창출은 물론 국내 카드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일각에서는 증권업계 다기능 증권카드의 도입은 아직 시기상조라며 반대하고 있다. 증권사들마다 올해 IT예산을 축소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예산투입이 불가피한 다기능 증권카드 발급이 가능하겠냐는 것이다.
또한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기관간 공동전산망 작업이 먼저 이루어지지 않는 한 다기능 카드를 통한 금융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우선 IC칩 리더기 등의 구매 및 시스템 개발 비용문제와 금융망 연계 사업이 먼저 선행돼야 모든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며 “내외부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기 때문에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