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정부가 법개정을 통해 지방벤처기업의 코스닥 등록시 혜택을 주기로 해 지방 벤처바람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성남시가 중소ㆍ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성남산업진흥재단’을 설립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진흥재단에는 경기도가 50억원, 성남시가 110억원의 기금을 각각 출연했다.
안양시는 최근 벤처기업인과 시(市)가 참여하는 벤처클럽을 결성해 벤처지원에 나서고 있다. 안양지역에는 지난 98년 36개에 불과하던 벤처기업의 수가 최근 2백여개로 늘어나는 등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어 중소기업청에 의해 명학역∼평촌신도시∼인덕원역에 이르는 시민대로변 일대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로 지정됐다.
대구시는 지난 13일 동대구로 일대를 동대구 벤처밸리로 명명하고 선포식과 함께 대구벤처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또한 천안밸리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된다. 천안에 설립되는 충남테크노파크는 내년초 기반시설사업에 착수해 오는 2010년까지 10년동안 3단계로 나뉘어 천안밸리조성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러한 지자체들의 벤처밸리 조성 계획과 함께 산업은행은 지역경제활성화의 일환으로 지자체와 연계해 500억원의 투자펀드를 결성키로 했다.
산업은행은 1차로 내년 1월에 결성되는 대구벤처2호 신기술투자조합에 30억원을 출자하기로 하고 오는 20일에 광주광역시와 벤처투자관련 협약을 체결한다.
KTB네트워크도 지방벤처 투자조합을 잇따라 결성하고 있다.
지난 10월말에 50억원 규모의 경남벤처펀드, 광주벤처투자조합을 결성했고, 지난 9월에 부산벤처1호(60억원), 대덕벤처 1호(100억원) 등의 조합을 결성한 바 있다.
산은캐피탈은 120억원 규모의 경기벤처펀드와 50억원 규모의 강원벤처펀드를 조성했다.
이렇게 벤처캐피털들의 지방 벤처기업 물색이 치열한 이유는 정부가 지방소재 벤처기업의 경우는 벤처투자기관이 투자한 지 1년이 안됐더라도 코스닥 등록을 허용키로 했고 지방벤처에 대해서는 또 등록신청 순서와 무관하게 심사대상 물량의 20%내에서 우선적으로 예비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했기 때문이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