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외국투자기업이 주가 차익만을 노린 펀드형 투자가 많아 국내 증권사가 이들의 투자 목적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는 점도 이러한 기류의 원인이 되고 있다.
2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내부적으로 외국금융기관과 지분제휴를 적극 모색했던 증권사들이 하나 둘 전략을 바꾸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사중 3~4곳이 외자유치를 위해 해외 금융기관과 접촉하고 있지만 협상 실무자들 사이에서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며 “외국금융기관들은 한국의 금융시장이 불안하다는 이유로 턱없이 낮은 가격을 요구하거나 경영권과 관련된 무리한 요구를 늘어놓는 일이 허다하다”고 밝혔다.
이미 외자유치를 성사시킨 증권사들의 경영성적은 뚜렷한 성과를보이지 않고 있다. 리젠트증권 KGI증권 등은 시장점유율과 수익구조가 외자유치 전보다 크게 개선되지 못한 채 다른 증권사와 M&A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현재 외자유치를 추진중인 현대증권과 대우증권도 투자기업의 무리한 요구로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증권사들은 외자유치보다 자금이 적게 소요되고 성과가 훨씬 큰 업무제휴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외자유치는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업무제휴에 대한 체계적 준비는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업무제휴가 당장 가시화되지는 않겠지만 필요한 때가 되면 언제든지 성사시킬 수 있도록 미리 준비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대우증권 관계자도 “지금 외자유치를 추진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업무제휴가 아니겠느냐”고 의견을 피력했다.
업무제휴는 실제로 일부 증권사에서 상당한 진척을 보고 있는 상태다. 미래에셋은 골드만삭스 살로먼스미스바니 피델리티 등과 온라인트레이딩 랩상품 해외금융상품 부문에서 각각 업무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대우증권도 해외역외펀드에 투자하기 위해 메릴린치 템플턴 등과 위탁판매 계약을 추진중이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