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선물거래소가 지난 11월6일부터 선물거래시스템과 증권사간 거래시스템 테스트라인 가동을 일방적으로 중단하면서 물의를 빚고있다. 주가지수선물 이관이 결정된 17일 공교롭게도 테스트라인을 재가동시키기는 했지만 이에 따라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테스트에 참여하지 못해 27일 모의거래 참여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선물거래소는 지난 13일부터 23일까지 시스템 테스트와 검수작업을 거쳐 해당 증권사들을 2차 모의거래에 참여시킨다는 방침이었다.
이러한 증권-선물사간 갈등은 청산기능 부여여부에서 비롯됐다. 지난 달 27일 증권사 사장단은 청산기능을 부여받는 것을 전제로 한 선물거래소 회원가입을 결정한 바 있다. 선물업계의 경우 막대한 수수료 수입이 뒤따르는 청산기능을 증권사에 넘겨줄 경우 결정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증권사들로 하여금 청산전문자회사 설립을 통한 회원가입을 종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선물거래소가 ‘장비설치신청서’를 배부하면서 청산기능 확보를 밝힌 대부분의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라인을 폐쇄하기에 이르렀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현재 증권사들은 선물거래시스템 미비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의 필수장비를 전혀 지원받지 못해 12월 15일 거래참가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거래를 진행하게 될 경우 대규모 사고의 위험도 농후하다.
또한 1차 모의거래를 진행했지만 대규모 거래를 수반하는 증권사들과 연계한 안정성 테스트와 점검은 아직도 불충분한 상태다. 선물거래시스템의 경우 효성데이타, TL정보통신 등 구축업체가 3곳에 불과해 대부분의 증권사는 시스템 구축일정도 빠듯한 실정이다.
이처럼 기존 증권사들의 참여가 저조할 경우 코스닥지수선물의 활성화는 요원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거래참여자들이 소수의 지점을 가진 선물회사에 신규 계좌신청을 해야하고, 선물거래소의 경우 선물과 현물간 통합원장관리 등을 위한 지원도 불가능해 상당한 불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선물거래소 관계자는 “라인폐쇄는 증권사들의 담합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밝히고 “6~7개 증권사를 시작으로 내년 3월과 6월에 각각 10여개 이상의 증권사가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춘동 기자 bo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