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국민은행은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와 합병 상대 은행의 자산 클린화만 보장된다면 어느 은행과도 합병할 의사가 있다고 일단 밝히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마땅한 대상이 없다는 것이 고민이다. 국민+외환은행의 합병 조합이 종종 거론되고 있지만 국민은행은 외환은행의 고정이하 여신 비율이 6월말 현재 17.6%에 달하고 외환은행 해외 현지법인등이 보유한 해외자산 부실에 대한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당장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외환은행의 해외자산은 5조원 규모며 부실 수준이 적어도 50%를 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는 한 골드만 삭스등 대주주들이 합병을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외환은행 관계자는 “9월말 현재 해외 현지법인의 여신은 14억1500만달러이고 고정이하 여신 비율도 5.6%에 불과하다”며 해외 자산의 대규모 부실 가능성에 대한 국민은행의 곱지 않은 시선에 대해 못마땅하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국민은행은 현대건설 사태가 더욱 악화되면 외환은행도 동반 부실화 상황에 빠져들어 경평위에 제출한 경영개선계획 마저도 실행될 지 불투명하다며 우려하고 있다.
주택은행도 한미 하나은행 등과의 합병을 원했지만 당사자들이 거부하고 있어 독자 노선을 걷을 수 밖에 없는 처지다. 주택+한미+하나은행 3자 합병설도 시장에서는 떠돌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 하나 한미은행 관계자들은 “주택은행과의 합병은 생각도 안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주택은행은 이에 따라 신한은행과의 합병을 타진하기도 했지만 신한은행도 독자 노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주택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 재일교포 대주주의 독자 노선이 변하길 바란다”고 말했지만 신한은행은 눈길도 안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주택은행의 향후 행보에 대해 금융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은행이야 자산규모가 90조원을 넘어선 대형 은행으로 한미 하나은행(자산 규모 8 0조원)이 합병해도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주택은행은 자산규모가 63조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국민, 한미+하나, 신한등 3개 은행은 가계·기업금융 등 업무영역 별로 나름대로 자리를 잡았지만 주택은행은 아직도 가계금융에 치우쳐 있어 리딩뱅크로서 한계가 많다는 지적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주택은행이 지금까지 은행 합병을 놓고 다른 은행을 스토킹했다면 앞으로는 스토킹을 당하는 입장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