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되는 서비스 항목은 비용부담이 많은 긴급주유 서비스와 배터리충전 서비스. 이 두 서비스는 고객들이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긴급출동서비스 중에서도 손보사들이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항목이다. 이와 함께 타업종과 중복되는 서비스도 폐지할 계획이다.
최근 손보사 사장단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집중 거론됐는데, 이 자리에서 시기와 항목에 대해서는 각사가 자율적으로 적용토록 한다는데 의견일치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구체적인 시기는 점칠 수 없지만 올해 안으로 각사들이 긴급출동서비스를 재정비,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손보사들이 계약자들의 반발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일부 서비스 항목을 폐지하려는 것은 긴급출동서비스를 이용하는 횟수가 크게 늘어난데다 긴급주유나 배터리충전 서비스의 경우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보험사의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특히 긴급주유서비스의 경우 이용횟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한달에 두번 이상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고 배터리 충전도 새차를 산 후 2년이 경과하면 갈아줘야 하는데 방전이 다 될때까지 타고 다니다 보험회사에 연락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밝혔다.
보험회사의 긴급출동서비스가 무료인 점을 고려해 갖가지 방법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어 연간 100~200억원대의 비용이 길거리에 버려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이 모든 것이 보험회사의 ‘자업자득’이라고 지적한다. 처음 긴급출동 서비스를 실시할 때 이와 같은 부작용을 미리 예견했어야 했다는 주장이다. 당시 한 회사가 이 서비스를 처음 실시하자 전 손보사가 이에 동조했기 때문이다. 과당경쟁이 부른 ‘악수’라는 것.
또 다른 관계자는 “단 몇년 후를 내다보지 못하는 손보업계의 근시안적 경영이 아쉽다”며 “긴급출동서비스 비용을 보상서비스 강화에 사용하는 것이 계약자를 위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너무 뒤늦게 깨달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성희 기자 shfr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