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교통사고율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도 관련 업무가 건교부, 행자부, 재경부, 교통안전관리공단, 도로공사 등으로 분산돼 있어 효율적인 교통안전관리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사장단회의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보고됐으며, 정부의 통합기구 구성으로 교통사고가 줄어드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70년대만 해도 71만808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1만6765명이 사망하는 등 높은 교통사고율을 기록했다. 결국 총리 산하에 ‘중앙교통안전대책회의’를 구성, 내각총리대신을 회장으로 두고 교통안전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교통사고 줄이기에 적극 나선 결과 80년대에는 차량대수가 70년대보다 3배나 늘어났음에도 교통사고와 사망자수는 오히려 41만6677명, 1만8760명으로 각각 33.6%, 47.7%씩 줄어드는 효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통합기구를 설치, 운영하는 것이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법제처는 대통령 훈령으로 ‘안전관리개선기획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제정했다. 이에 따르면 ‘안전관리개선기획단’은 교통안전 등 기타 안전관련 개선사항에 관한 총괄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실천계획을 개발, 조정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또 교통질서 확립대책과 안전문화운동을 추진·지원하는 등 안전관리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총괄·조정하고 점검·평가하는 업무를 하게 된다.
이 기획단은 국무조정실의 사회문화조정관을 단장으로 국무조정실에서 파견된 2·3급 공무원, 민간인 전문가중에서 국무총리가 임명한 부단장으로 구성된다.
김성희 기자 shfr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