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보 경영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보 부가서비스에 대한 비용이 커지자 이에 대한 폐지론까지 대두되고 있지만 계약자등 여론의 반발을 우려, 눈치보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부가서비스로 지출되는 비용이 연간 수백억원대에 이르고 있어 이를 폐지하거나 유료화하는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자동차보험 부가서비스가 보험료를 왜곡시키고 불량계약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부작용을 낳고 있는데다 그 부담이 고스란히 보험료에 반영될 위험성마저 안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이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으나 대부분의 계약자들이 이 서비스 내용을 잘 인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이를 유료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문제는 자보 부가서비스에 대한 유료화가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라는 데 있다. 모든 손보사들이 타 회사가 먼저 선수 치기를 바라고 있는 상황이지만, 언론의 집중 포화를 받을 것이 분명한 관계로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실정이다.
또 유료화 방법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모든 보험료에 일정 금액의 부가서비스료를 추가할 경우 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계약자에게까지 부담이 전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
따라서 출동건별로 따져서 보험료에 반영하는 방안과 이를 특약화해 서비스 이용 특약에 가입한 계약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울러 지난달부터 시판되기 시작한 고급형 자동차보험 가입자에게는 부가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일반 자동차보험은 유료화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유료화를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중소형사들의 경우 대형사가 먼저 치고 나가기를 바라고 있지만 대형사들은 ‘모난 돌이 정 맞는’ 꼴을 자청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이다.
대형사의 한 관계자는 “긴급출동서비스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시행되지 않고 있는 제도이며 보험 본래의 기능에도 벗어나는 것이다”며 “그러나 이를 유료화했을 경우 예상되는 계약자의 반발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금감원이 유료화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도 11개사가 일제히 유료화하는 것에는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업계를 더욱 난감하게 하고 있다.
김성희 기자 shfr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