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사장을 포함한 전 임직원이 타금융권을 찾아다니며 한 푼이라도 더 얻으려는 모습이다. 인맥 학맥 가리지 않고 총동원돼 증권사는 수익증권에, 은행은 신탁 수탁고를 늘리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전 금융기관이 돈가뭄에 시달리면서 지난해처럼 타금융권의 펀드 및 신탁 예금 가입 요구도 쉽게 들어주지 못하는 처지다. 이렇다보니 경쟁이 가열되면서 부작용도 발생한다. 정해진 자금을 너도나도 끌어다 대려니 경쟁기관을 서로 헐뜯는 이전투구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유일한 인기상품이며 1인당 2000만원 한도내에서 개인투자자에게만 연말까지 한정 판매하는 비과세펀드로는 지속적인 수익을 낼 수 없는 증권사들이 은행등 타금융권에 장기 수익증권 가입을 요구하는 사례가 부쩍 증가하고 있다.
모 증권사는 최근 투자신탁 담당 실무자뿐 아니라 사장까지 직접 나섰다. 대형증권사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경우다. 직원들로써는 자금시장이 바닥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에 이르는 기관자금을 끌어올 수 없기 때문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사장이 뛰어도 될까 말까”라며 “IMF때만큼 힘든 세월을 보내고 있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증권사는 은행에 적극적인 펀드 유치 활동을 하다 의심을 사기도 했다. 워낙 적극적으로 펀드 가입을 요구하다 보니 정치적 압력으로 까지 비춰진 것. 이 증권사 사장은 “해당 은행의 임원에게 부탁한 것이 실무진으로 내려가면서 무조건 돈을 대줘야 하는 것처럼 와전되기도 했다”며 곤혹스러워 했다.
비단 증권사만의 문제는 아니다. 은행도 급감하는 신탁계정을 살리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예금보장 한도가 줄어드는 내년부터 급격히 이탈할 것으로 보고 기관투자가에게 상당 부분을 기대고 있다. 관계 계열사 또는 신탁 담당자의 인맥을 동원해 장기 신탁에 예치를 늘리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그러나 경쟁격화는 이전투구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해진 돈을 쪼개 나누는 과정에서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한 협상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상대를 헐뜯거나 근거없는 루머를 퍼뜨리는 사례가 빈번하다”며 “결국 이는 금융권 전체의 신뢰 하락으로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