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5일 상오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 여신담당 임원회의를 소집,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금감원은 그동안 일부 워크아웃 업체들이 방만한 경영을 하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청탁 비리 민원이 청와대 금감원등에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고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6월말 기준으로 경영전반에 대한 심층 진단을 실시하고 연말에는 워크아웃 제도를 종결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 금년 9월말까지 워크아웃 제도롤 끝내기로 IMF와 합의했기 때문에 자구노력이나 경영 개선 작업이 잘되고 있는 기업들은 조기에 졸업시키고 고정이하 여신 분류업체, 특히 FLC기준 미달 업체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정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지난 3일부터 은행 검사인력 외에 업체별로 1~2명의 금감원 전문 검사역을 투입해 56개 워크아웃 업체들에 대해 점검을 벌이고 있으며 이달말까지 검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워크아웃 당시의 경영진이 아직도 존속하고 있는 업체, 기업을 살리려는 노력보다 워크아웃을 통해 원금 유예, 저리자금 융자등 편익만을 노리는 업체, 비리 결탁 및 부당한 경비지출 의혹이 있는 업체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사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날 회의에서 또 은행에서 파견된 관리인의 비리 및 민원이 계속 접수되고 있고 특히 경영진과 짜고 빼먹기식 업무를 하는 사례까지 있다고 지적하고 개별 은행들이 관리인 선정 및 감시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 줄 것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서 적발되지 않은 내용이 나중에 검찰이나 사정기관 등에서 문제가 될 경우에는 전적으로 은행들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도 전달했다.
한편 금융계는 이같은 금감원의 방침에 따를 경우 지난번 잠재부실 실사에서 회수의문으로 분류된 23개 워크아웃 업체들중 상당수가 정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워크아웃 선정 업체를 지원하지 않는다며 은행들을 다그칠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일부 업체들의 모럴해저드로 워크아웃 기업들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자 워크아웃 종료에 따른 사회적 충격과 파장은 생각하지 않고 정리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일관성 없는 정책의 표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