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들에 대해 워크아웃 여신을 중심으로 고정이하 부실여신 및 무수익 여신을 4월말 기준으로 파악하고 아울러 6월말 기준 추정치도 15일까지 보고토록 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은행장들이 책임지고 기존 부실여신에 대한 해소책도 제시토록 했다.
이같은 금감원의 지시에 따라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들은 지난주말과 금주초에 걸쳐 다시 부실여신에 대한 현항을 파악, 금감원에 보고중이지만 올들어 추가로 특별하게 늘어난 부실여신이 없고 대우등 워크아웃 여신에 대해서는 지난해말 금감원 기준 이상으로 이미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실여신의 투명성 측면에서 특히 의혹을 사고 있는 조흥 한빛 외환등 대형 시중은행들은 “단적으로 ㈜대우 여신의 경우 금감원 기준에 따를 경우 50%만 쌓으면 되지만 이미 70~80%를 쌓았다”고 밝히고 “금감원이 무엇 때문에 부실여신을 다시 파악해 보고하라는 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국민 주택 신한 하나 한미은행등 우량은행들은 대우 계열사 여신등 워크아웃 여신에 대해서는 금감원 기준과 관계없이 지난해말 평균 80~90%를 적립해 뒀고 만약 100% 손실이 발생한다해도 올해 시현하는 이익금으로 충당할 수 있어 문제될 게 없다는 주장이다.
금융계는 이같은 점을 감안할 때 이번 부실여신 점검에서 문제가 되는 은행은 지난해말 결산 감사에서 회계법인이 한정의견을 제시한 광주은행등 일부 지방은행에 국한될 것으로 보고있다.
금융계는 은행들의 기존 부실여신 공시내용중 투명성에 의문을 살 수 있는 대목은 워크아웃 여신이 아닌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투신사 수익증권 투자분과 채권투자 부문에서 시가평가가 제대로 안된 것 정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의 손실은 행당 많아야 몇백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올해 이익에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에서 제기하는 자회사 관련 부실도 대부분 지난해 결산에서 반영했기 때문에 걱정할 게 없다는 입장이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