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은 지난 3일 은행장 후보 인선위원 및 비상임이사들이 모여 은행장 후보로 김경우 평화은행장, 손성원 웰즈파고은행 부행장, 최동수 조흥은행 부행장, 황수남 주은부동산신탁 사장 등을 잠정 선임했다.
이같은 후보군이 드러나자 외환은행 안팎에서는 신임 외환은행장은 김경우 손성원씨로 압축됐고 특히 재경부 출신의 김경우씨가 유력하다는 관측이 대두됐다. 유력후보로 거명됐던 양만기 수출입은행장에 대해 외환은행 노조가 극력 반대함에 따라 재경부 등이 김경우씨 카드를 내세웠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김경우씨의 경우 “평화은행의 위기가 아직 극복되지 않아 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서 예측을 어렵게 하고 있다.
김경우행장은 평화은행 임원 및 노조간부들에게 “개인적으로는 전공인 국제금융 등을 살려 외환은행장을 해 보고도 싶지만 평화은행이 완전 정상화되기 전에는 떠나지 않을 것이며 선비가 한번 한 약속을 어겨서도 안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우 평화은행장이 외환은행장 직을 고사하고 있는 것에 대해 금융계에서는 ‘제스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있는가 하면 재경부장관 금감위원장 경제수석간 3자 조율이 안됐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평소 ‘선비정신’을 강조하는 김경우 행장이 자신이 직원들에게 여러 차례 약속한 것을 뒤집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주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웰즈파고은행의 손성원 부행장에 대해서는 외환은행의 젊은 직원들이 선호하는 분위기지만 손씨의 경우 제일은행 호리에행장 수준의 연봉(30억원 안팎)과 임기보장등을 요구하고 있어 변수가 되고 있다.
한 비상임이사는 “경영정상화가 추진중인 외환은행의 상황을 감안하면 이같은 조건을 수용하기는 어려우며 한국적 정서와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외환은행장 후보 선임이 혼미 상황을 거듭하면서 은행 안팎에서는 박태영 前산자부장관, 양만기 수출입은행장, 심훈 한은부총재 최경식 현대증권부사장 등의 이름이 다시 오르내리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