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금감위에 제출한 은행 구조조정안은 개별 기관의 입장에 불과하지만 금감원 출신의 김상훈행장 취임을 계기로 국민은행이 2차 구조조정 추진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을 감안할 때 적지않은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또 이번 국민은행의 구조조정 방안 제시는 금감원이 마침내 은행산업 2차 구조조정 방안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는 점을 확인시켜줬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2일 금융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주 금감위와 또 다른 정부당국에 제출한 구조조정방안 보고서에서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은 업무와 점포가 70~80%나 중복돼 시너지 효과가 없을 뿐더러 효과를 거두려면 두 은행 직원 2만여명중 9000명정도를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민은행은 부실여신이 많은 한빛 조흥 외환은행과의 합병은 자신들까지 부실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 입장을 보이면서, 만약 이들 은행과의 합병을 추진하겠다면 공적자금 지원을 통한 부실여신 해소와 함께 사전에 40% 정도의 인력을 먼저 정리하고 와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국민은행은 3개 선발 시중은행은 우량은행과의 합병보다 정부가 지주회사 제도를 활용해 하나로 묶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이같은 사실을 감안하면 2차 은행산업 구조조정은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과 그렇지 않은 우량은행으로 나눠 추진하되 우량은행 그룹의 경우 규모가 큰 국민 주택 신한은행이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한미 하나은행 등을 흡수 합병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국민은행의 은행산업 구조조정 방안 제시에 대해 금융당국자들은 “2차 구조조정을 고심하면서 참고하기 위해 국민은행이 생각하는 것을 받아 본 것일 뿐이며, 아직 은행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어떤 시나리오도 없고, 내부적으로도 의견이 분분하다”고 해명했다.
반면 국민은행측은 구조조정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당국에 제시한 사실 자체를 금시초문이라며 강력 부인했다. 금융계는 국민은행이 제시한 이번 안이 그동안 국민은행측이 기회있을 때마다 주장해온 것으로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다는 반응이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