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12일 `코스닥시장 급성장의 허와 실` 제하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 `매출과 이익 규모가 훨씬 큰 대기업보다 신생 벤처기업의 주가가 더 높은 것은 이해하기 힘들며 거품 현상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매출액이 현재 200억원이 채 되지 않는 새롬기술, 하나로통신, 한글과 컴퓨터 등 코스닥 기업의 시가총액이 10대 그룹내 한 그룹의 총 시가총액보다 더 많은 건 코스닥 주가 적정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단기차익을 노린 이른바 `묻지마 투자자` 양산이 합리적 투자 분위기를 망치고 있다`며 `등록 예정기업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공시하고 투명한 퇴출기준을 마련해야 하며 불공정 행위 기업이나 기업주에 대한 강력한 제재 장치도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경련은 `부실 공시나 주가조작을 위한 허위정보 유포 등에 대한 감독과 재무 안정성 등록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며 `최초 등록 때 공모 가격을 결정하는 객관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코스닥 시장으로 과도하게 자금이 집중되는 것은 자금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양상`이라고 말했다.
반면 전경련은 `코스닥 시장이 벤처.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로 자리잡고 벤처기업 육성 및 인터넷, 정보통신 등 21세기 미래 산업 투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해 온 측면은 충분히 인정된다`고 덧붙였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