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계에 따르면 무수익여신의 상각과 이에 따른 자산 건전성확보, 경비절감 효과등에 힘입어 시중은행과 같이 지방은행들의 영업실적도 크게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1/4분기 결산실적을 집계한 결과 부산은행이 지방은행중 가장 많은6백63억원의 업무이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은행은 증시활황으로 보유 유가증권의 값이 크게 오르면서 투자유가증권평가익만 8백98억원을 기록했다.
대구은행의 경우 유가증권평가익은 35억원 안팎에 그쳤지만 지난해 부실자산 매각등을 통한 대출자산의 건전성 확보와 경비절감 효과로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전년동기에 비해 8백28억원이나 늘어난 6백32억원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1/4분기에서 4백94억원의 적자를 냈던 경남은행도 올해들어서는 수익이 급증, 2백25억원의 이익을 냈으며 광주은행 역시 지난해 81억원의 이익 기록, 올해 첫 분기 결산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호조를 보였다.
지방은행의 경우 시중은행과 같이 상품유가증권 보유 규모가 작아 거액의 유가증권평가익은 나지 않았지만 지난해 무수익여신 상각과 부실징후 채권의 적극적 회수, 경비절감 등의 영향으로 올해 영업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제주은행은 지난해 1/4분기 1백17억원의 적자에서 수익구조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증가했으나 명예퇴직에 따른 경비 지출로 지방은행중 유일하게 12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박태준 기자 jun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