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위는 지난 22일 상오 산업 제일 조흥 한빛 외환 서울등 6개 은행장 회의를 긴급 소집, 대우그룹의 어음결제가 제때 안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 4조원의 신규자금이 지원되기 앞서 6개 대형 은행이 브리지론형식으로 우선 2조5천억원의 콜자금을 지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6개 은행은 기존여신 잔액을 기준으로 긴급자금 분담액을 결정했고 외환은행에는 4천3백75억원이 배정됐다.
그러나 외환은행은 23일까지 긴급자금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가 24일 독일로 여름휴가를 떠났던 드로스트전무가 일정을 당겨 돌아온 뒤에야 이날 오후 여신위원회를 열어 당초 배정분 4천3백75억원이 아닌 CP 매입을 통한 신규자금 지원분으로 배정된 2천5백44억원을 집행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인해 제일은행이 그 차액인 1천8백31억원을 추가 지원해 이날까지 돌아온 대우그룹 어음 2조8천6백80억원을 겨우 막았다.
이 과정에서 외환은행은 금감위로부터 여러 차례 협조요청을 받았지만 원칙을 고수했다. 외환은행 관계자들은 "22일 은행장 회의에서 2조5천억원 긴급자금 지원에 외환은행은 참여할 수 없으며 은행장이 이를 결정할 권한도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으며, 24일 드로스트 전무가 참석한 여신위원회에서도 앞으로 신규자금이 지원되기까지 기간 갭을 메우기 위해 한시적으로 콜자금을 지원할 수는 있지만 신규자금 배정분 이상의 지원은 논리에 맞지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융계에서는 제 몫 찾기만 한다며 외환은행을 비난하고, 앞으로 정부와 외환은행의 불편한 관계를 걱정하는 소리도 있지만 이제 외국계 은행들이 경영주체로 등장하는 시점에서 금융당국도 시급한 사안이라해서 원칙과 절차를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외환은행은 신규자금 배정분 2천5백44억원에 대한 최종 집행여부 결정은 드로스트전무 뿐만 아니라 박영철의장 등 비상임이사들까지 참여하는 오는 27일 확대이사회에서 최종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