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감독위원회 및 보험업계에 따르면 빠르면 금주, 늦어도 내주에는 서울보증보험에 대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통한 경영정상화 일정이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서울보증보험이 제출한 경영정상화 계획에 대한 외부 전문가 5인 평가단의 적정성 평가를 마무리한 단계이며, 재정경제부와의 최종 협의를 거쳐 서울보증보험을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하고, 가능한 빠른 시일내 1조2천5백억원의 재정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주주 보험사들의 이견으로 진통을 겪었던 5천6백억원의 미지급보험금에 대한 처리는 1천8백억원을 현금지급하되 1천50억원은 출자전환하고, 나머지 2천4백50억원은 후순위대출로 전환하기로 확정됐다.
삼성화재는 3백억원의 미지급보험금에 대해 지급청구를 포기하기로 최종 확정했으며, 주주 보험사들의 후순위대출 금리는 국민2종 채권에 연동시켜 약7%대로 사실상 결정됐다.
서울보증보험은 1조2천5백억원의 재정 투입과 주주 보험사들의 출자전환 및 후순위대출이 이뤄지면 현재 납입자본금 50억원이 약 1조3천억원 수준으로 늘어나게 되며, 정부지분은 약 93%에 이르게 된다.
한편 서울보증보험은 미수채권 규모가 9조원과 미지급보험금이 3조4천억원에 이르는 점을 감안, 매월 2천억원 이상의 구상과 영업규모를 5백억원 수준으로 늘려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병수 기자 bsk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