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올해 취임한 성무용닫기

DGB금융그룹과 시너지 강화도 중요하다. 브랜드 일원화에 따라 하이투자증권은 'iM증권'으로 출범을 앞두고 있다.
성 대표는 2024년 4월 취임 후 첫 번째로 하이투자증권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PF금융단'을 신설했다. 그리고 최근 7월에 성 대표는 PF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PF금융단의 부동산금융실과 투자금융실은 'PF솔루션실'로 통합하고, 산하에 'PF관리팀'을 신설했다.
PF 리스크 관리는 하이투자증권의 최대 현안이다.
한국신용평가 데이터 패키지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부채는 2020년 말 136.8%, 2021년 말 124.2%, 2022년 말 93.4%, 2023년 말 80.1%, 그리고 2024년 3월 말 78.0% 수준이다. 지속적으로 PF 위험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다른 증권사 대비 지표의 절대 수준이 높다. 중형(자기자본 1조원대) 증권사 가운데 올 3월 말 현대차증권이 34.5%, 유안타증권이 32.4%, BNK투자증권이 36%로, 하이투자증권은 이와 비교하면 두 배가 높다.
PF 충당금 비용 처리가 누적되면서 실적 하방 압력도 불가피했다. 하이투자증권의 2024년 1분기 당기순손실은 연결 기준 49억원(별도 64억원)이었다. 2023년 4분기 때도 당기순손실이 연결 기준 329억원으로, PF 여파가 진행형이다.
금융당국의 '옥석 가리기' PF 연착륙 대책으로 2024년 2분기 실적에 충당금 압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성 대표의 PF 리스크 관리는 더욱 중시될 것으로 관측된다.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오는 8월 6일 주주총회 결의로 사명이 'iM증권'으로 바뀔 예정이다.
성 대표는 DGB금융지주가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한 뒤 선임한 첫 내부 출신 증권사 대표다. 앞서 지주, 은행 등 DGB금융그룹 계열에서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고 증권 사령탑이 된 만큼 역할이 크다.
하이투자증권은 PF 위주 IB에 더해 리테일로 수익 다변화가 주요 과제다.
성 대표는 2024년 4월 첫 조직개편에서 리테일 영업 활성화를 위한 변화도 꾀했다. 리테일총괄 산하 본부를 3개실(수도권영업실, 영남영업실, 영업지원실)로 재편한 바 있다. 또 올 7월에는 영업지원실을 영업기획실로 변경하고, 산하에 신사업추진팀을 신설해서 대출 중개 등 시너지 영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상품전략부와 연금지원부는 상품연금부로 통합하고 산하에 연금지원팀을 신설했다. 디지털솔루션부와 디지털컨택트센터를 디지털정보마케팅부로 통합하고 산하에 플랫폼기획팀을 배치했다. 영업점 인력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센터 내 영업점은 폐지했으며, 강북WM센터는 서울금융센터로 명칭을 변경했다.
첫 번째 조직개편 당시 성 대표는 "조직쇄신과 혁신을 통해 당면한 경영 현안을 해결하고 그룹 내 시너지 영업 활성화를 통해 하이투자증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