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신에서 홀산란인자를 예측해 표면 분자를 찾아내는 프로그램. /사진제공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윤석진)
최근 국내 증시에 이차전지, 초전도체 다음으로 떠오른 신소재 ‘맥신(MXene)’ 테마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윤석진)이 맥신의 분자 분포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발표하면서 대량생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맥신은 2차원 나노물질로 여러 금속화합물과 조합할 수 있고 높은 전기전도성, 에너지 저장성, 친수성도 지니고 있다. 특히 다양한 용매에 잘 녹고 가공이 쉬워 반도체, 전자기기, 센서 등의 산업에서 활용된다.
맥신은 표면에 덮인 분자가 불소일 경우 전기전도성이 낮아져 전자파 차폐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분자의 종류와 양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두께가 1nm(나노미터·10억분의 1m)에 불과해 표면에 붙은 분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전자현미경으로도 수일이 소요돼 그간 대량생산이 불가능했다.
이런 가운데 이승철 KIST 한·인도협력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지난 17일 맥신의 자기 수송(Magnetoresistance) 특성을 이용해 표면의 분자 분포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히면서 관련 테마주로 분류된 기업의 주가가 뛰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표면에 붙은 분자에 따라 전기전도도 또는 자기적 특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점에 착안해 2차원 소재의 물성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면서 “그 결과 맥신의 자기 수송 특성을 계산해 다른 추가 장치 없이도 대기압과 상온에서 맥신 표면에 흡착된 분자의 종류와 양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주가가 급등한 기업의 경우 맥신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휴비스는 폴리에스터 섬유 등의 소재를 생산·판매하며 태경산업은 철강 소재 공정에 사용되는 필수 부원료를 생산한다. 코닉오토메이션은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경동인베스트는 지주·전기발전·건설 사업을 하고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맥신 테마에 대한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K증권(대표 김신닫기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