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신한·하나·우리금융 지배구조 ‘안정성’ 확보
새롭게 재편된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지배구조를 보면 후계 구도 윤곽이 보다 뚜렷해졌다. KB금융지주는 3인 부회장 체제를 정립하며 후계경쟁을 시작했고 완전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금융지주는 손태승...
2022-04-25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김기환 KB손보 사장, 손해율 개선 순익 거양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이사 사장이 보험영업 효율을 높이며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KB금융지주가 지난 22일 발표한 'KB금융그룹 2022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KB손해보험의 2022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14...
2022-04-24 일요일 | 임유진 기자
-
이재근 취임 첫 성과 '성공적'…리딩뱅크 지킨 국민은행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이재근 KB국민은행장이 취임 후 첫 분기 실적 발표에서 성공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대출 증가와 마진 개선으로 이자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덕이다. 핵심이익 증가와 비용관리 노력으로 비용효율성은 개선세를 ...
2022-04-22 금요일 | 한아란 기자
-
KB국민카드, 순이익 1189억 · 전년동기 比 16% ↓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가 올해 1월 취임 후 첫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카드 이용금액 축소 등의 영향으로 실적 개선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2년 1분기 KB국민카드의 당기순이익은 118...
2022-04-22 금요일 | 신혜주 기자
-
윤종규號 KB금융, 리딩금융 수성…분기배당 정례화(종합)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이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으로 1조4531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썼다. 리딩금융그룹 자리를 다투는 신한금융보다는 500억원가량 앞서 금융권 선두 수성에 성공했다. KB금융은 ...
2022-04-22 금요일 | 한아란 기자
-
KB증권, 1분기 영업이익 1511억원…전년동기비 48%↓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KB증권(대표 박정림, 김성현)의 1분기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보다 후퇴했다. KB금융은 자회사인 KB증권의 2022년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51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2일 공시했다. 이는 전...
2022-04-22 금요일 | 정선은 기자
-
KB금융 순이익 1.4조 '역대 최대'…분기배당 정례화 [금융사 2022 1분기 실적]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22일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1조453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1조2700억원)대비 14.4% 증가한 것으로 창사 이래 최대 분기실적이다.대손충당금 환입(세후 약 590억원...
2022-04-22 금요일 | 김태윤 기자
-
국민은행, 개인·기업 복합금융 특화 '서울숲 PB센터' 개점
KB국민은행(행장 이재근)은 지난 20일 개인·기업 복합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 프라이빗뱅킹(PB)센터인 ‘KB GOLD&WISE 서울숲 PB센터’를 개점했다고 21일 밝혔다.강북의 신흥 부촌으로 부상하고 있는 성수동은...
2022-04-21 목요일 | 김태윤 기자
-
하나UBS운용→하나자산운용…시너지 기반 업계 ‘톱’ 노린다 [하나금융 운용업 리빌딩]
금융당국이 하나금융투자의 하나UBS자산운용 인수를 위한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 재개 여부를 검토하고 나섰다. 완전 자회사 편입 절차가 연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하나금융지주는 올해를 기점으로 그룹 자산운용 전...
2022-04-21 목요일 | 한아란 기자
-
[마감시황] 넥슨게임즈 주가 8.4% 하락… ‘게임주 약세’
지난달 31일 정식 출범한 게임 개발사 ‘넥슨게임즈’(대표 박용현)가 18일 코스닥 시장에서 8.4%(2100원) 급락하면서 2만2900원에 장을 마감했다.최근 넥슨지티와의 합병을 통해 상호를 변경하고 상장을 마친 넥슨게...
2022-04-18 월요일 | 임지윤 기자
-
윤종규 회장 “ESG 실행력 높여야…차별화된 리더십 확보”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고 회복시키기 위해 기업의 정보공개기준을 수립하는 글로벌 논의의 장인 ‘TNFD(자연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에 가입했다고 17일 밝혔다. TNFD는 기업 활동이...
2022-04-18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마감시황] LG전자, 역대 최대 실적에 ‘주가 상승’ 이어가
LG전자(대표 조주완‧배두용)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데 이어 ‘주가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11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LG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46% 증가한 12만5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기관...
2022-04-11 월요일 | 임지윤 기자
-
함영주 하나금융號, 아시아 중심 글로벌 진출 확대
하나금융그룹이 올해도 높은 이자이익 증가세를 바탕으로 실적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하나금융의 키를 잡은 함영주 회장은 비은행·글로벌·디지털을 주축으로 삼아 이익기반을 더 넓히고 나선다. 고수익성 창출역...
2022-04-11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민기식 푸르덴셜생명 사장, 제판분리·WM 강화
민기식 사장이 푸르덴셜생명의 새로운 도약에 나섰다. 푸르덴셜생명의 탄탄한 설계사 조직에 힘입어 제판분리를 추진하고 푸르덴셜생명의 강점인 WM을 강화하는 모습이다.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민기식 푸르덴셜생...
2022-04-11 월요일 | 임유진 기자
-
푸르덴셜생명, ‘스타WM 고객 초청’ 부산 세미나 진행
푸르덴셜생명보험(대표이사 사장 민기식)이 고객들과 자산 관련 전문가의 만남을 개최했다.푸르덴셜생명은 6일 파크 하얏트 부산 호텔에서 ‘스타WM(STAR Wealth Manager) 고객 초청’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푸...
2022-04-06 수요일 | 임유진 기자
-
지난해 금융지주 순이익 21.2조 기록…은행 이익 의존도 개선세
국내 금융지주회사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21조1890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의 이익 비중이 줄고 비은행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금융지주 이익의 특정 부문 의존도가 개선된 모습이다.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지주...
2022-04-06 수요일 | 김경찬 기자
-
김기환 KB손보 대표, 보험업계 신사업 선도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가 보험업계 신성장동력 경쟁을 이끌고 있다.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보험업계 첫 헬스케어 자회사와 요양시설의 시너지를 활용해 '디지털 헬스케어'를 주도하는...
2022-04-05 화요일 | 임유진 기자
-
민기식 대표, 푸르덴셜생명 자회사GA 'KB라이프파트너스' 설립
민기식 푸르덴셜생명보험 대표이사 사장이 푸르덴셜의 탄탄한 설계사 인프라에 힘입어 자회사GA(법인보험대리점) 만든다. 푸르덴셜생명보험은 프리미엄 판매전문회사인 ‘KB라이프파트너스’를 설립한다고 5일 밝혔다...
2022-04-05 화요일 | 임유진 기자
-
동학개미, ‘삼성전자’에 식지 않은 애정 보냈지만
국내 증시가 횡보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동학개미들’이 삼성전자(대표 한종희‧경계현)를 포함한 대형주에 식지 않은 애정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투자 규모에 비해 수익...
2022-04-04 월요일 | 임지윤 기자
-
KB손보, 손보업계 최초 '마이데이터 서비스' 출시
KB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김기환)이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KB손해보험은 4일, 고객의 건강과 안심을 보장하는 차별화된 보험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출시했...
2022-04-04 월요일 | 임유진 기자
-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 ‘리딩 디지털 뱅크’ 꿈꾼다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올해 1월 신홍섭 전임 대표의 배턴을 이어받아 디지털 저축은행으로서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올 하반기 내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앞두고 있는 만...
2022-04-04 월요일 | 신혜주 기자
-
109억 받은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지난해 카드사 '연봉킹'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지난해 카드업계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에 이어 '연봉킹' 자리를 유지했다.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8개 전업 카드사(신한·KB국민·삼...
2022-03-31 목요일 | 신혜주 기자
-
고액 자산가 ‘오피스 빌딩’ 선호도 5년새 4%→17% 급증…다주택 세제강화 여파
고액 자산가들이 선호하는 부동산 자산으로 오피스가 대세로 떠올랐다. 최근 5년새 4%에서 17%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급등은 물론 아파트와 오피스텔까지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가 적용되면서 오피스...
2022-03-30 수요일 | 장호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