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열린 사내 소통행사 ‘AX 토크콘서트’에서 조 CEO는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일의 방식과 본질을 바꾸고 있다”며 “조직 전체가 지속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AI를 빠르게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28일 LG전자는 밝혔다.
과거의 DX(디지털 전환)가 개별 업무의 최적화에 그쳤다면, AX는 이를 통합해 자율 공정 등 전사 차원의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LG전자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2~3년 내 생산성을 30%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AX의 대표 사례로는 사내 생성형 AI 플랫폼 ‘찾다(CHATDA)’가 있다. 이 플랫폼은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존 3~5일 걸리던 연구 데이터를 30분 내에 처리하며, 글로벌 시장에 맞춘 제품 전략 수립에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냉장고에 위생 기능을, 브라질에서는 세탁기 UX를 현지화하는 데 기여했다.
회사는 사내 AI 에이전트 플랫폼 ‘엘지니(LGenie)’를 통해 업무의 디지털화를 가속하고 있다. 엘지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Gemini 등과 연동되며 문서 요약, 통번역, 아이디어 생성 등 실무 중심의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 월 70만건 이상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며, 글로벌 업무를 돕는 ‘스마트 파트너’로 진화 중이다.
LG전자는 "앞으로 엘지니를 AI와 함께 일하는 방식을 만들어 가는 ‘스마트 파트너’로 키울 것"이라며 "영업, 마케팅, SCM 등 전문 영역으로 확대하겠다"고 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